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점점 벼랑 끝으로 몰리는 서민들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하여 서민들의 얼굴에 드리워진 불황의 그림자는 걷힐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경제적 압박이 더해짐에 따라 서민과 고령층의 금융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
지난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소매판매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작년 대비 2.4% 감소해 2003년 카드 대란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여기서 소매판매액지수란 개인 및 소비용 상품을 판매하는 2700개 기업의 판매액을 조사해 실질적인 소비 수준을 알 수 있는 지표다.
소매판매액지수의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실질 소비의 양이 이전보다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지수는 3년 연속 하락 중이며, 2021년 5.5%였던 증가율은 지난해 1.2%로 떨어진 후 올해 -2.4%까지 감소했다.
서민금융 대출 부문에서도 고금리와 경기 침체의 여파가 드러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실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햇살론과 같은 정책서민금융 상품의 대위변제액이 올해 1조 원을 넘어섰다.
특히, 최저신용자 특례보증과 햇살론15의 대위변제율이 각각 25%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빚을 갚지 못한 차주 대신 정부가 대신 갚아준 대출 금액이다.
서민 금융상품의 연체율도 급증하고 있으며, 소액생계비대출의 경우 8월 기준 연체율이 26.9%로 작년 말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벼랑 끝에 선 서민들, 이대로도 괜찮은 걸까?
이러한 상황 속에서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서민층도 급증하고 있다.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채무조정을 신청한 사람은 약 11만 명에 달하며, 이는 작년 채무조정 확정 건수의 70%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60대 이상의 고령층의 채무조정 신청이 급증하고 있어, 이들의 경제적 취약성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
한편, 은행권은 이러한 경제 상황을 반영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포함한 가계대출 금리를 다시 인상하고 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다음 달부터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0.10~0.20%포인트 인상할 예정이며, 한국은행 또한 가계부채 상승세가 둔화되기 전까지 기준금리 인하가 어렵다고 발표했다.
이와 같이 고금리와 고물가로 인한 내수 위축과 빚 부담이 심화되는 가운데, 금융권과 정부는 서민층 및 고령층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양아치가 할줄아는게 뭐 있겠노 왕놀음??
전쟁날까 두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