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슬 잘 풀리나 했는데…” 심상치 않은 상황, 회사원들만 ‘한숨 푹’

영업 위한 접대비는 회복했는데
중소기업 상황은 언제 좋아지나?
중소기업
중소기업의 접대비 / 출처 : 연합뉴스

기업 실적 악화로 인해 중소기업의 상황이 심상치 않은 가운데, 일각에서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중소기업이 영업을 위하여 사용하는 이른바 ‘기업 접대비’가 코로나19 발생 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6일, 국세청은 ’24년 3분기 국세 통계’ 자료를 통해 2023년 한 해 동안 법인이 신고한 접대비를 발표했다.

여기서 접대비란 말 그대로 기업이 영업과 관련해 지출하는 금액을 말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한다.

중소기업
중소기업의 접대비 / 출처 : 연합뉴스

국세청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법인이 신고한 접대비는 전년보다 20.5%나 늘어난 15조 3천억 원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중 중소기업 접대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72.5%로, 11조 1천억 원 수준이었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제조업이 4조 5천억 원, 서비스업이 3조 1천억 원, 도매업이 2조 6천억 원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일부 전문가들은 기업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뜻이라면서 이를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했다.

중소기업
중소기업의 접대비 / 출처 : 연합뉴스

평균 접대비 지출액은 지난 2020년 1402만 원 수준이었으나 코로나19를 겪으면서 2021년, 1255만 원까지 떨어졌다.

그리고 지난해 다시 1486만 원 수준으로 회복하면서 기업들의 영업에도 다시 불이 붙었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이를 너무 낙관적인 전망이라며 비판하는 목소리 역시 존재한다. 실제로 중소기업의 경영 환경은 심각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의 절반, “내년에도 힘들 것”

중소기업
중소기업의 접대비 / 출처 : 뉴스1

지난 20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 중 절반가량이 올해 하반기 경영 악화를 전망한 바 있다.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 중소기업’ 또한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기업인의 한숨은 더욱 짙어지기만 했다.

특히 대출에 의존하는 중소기업 역시 크게 증가하면서 지난 2023년 전체 중소기업의 40%가 순이익을 내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지기도 했다.

중소기업의 상황이 심각해진 가장 큰 원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가장 많이 꼽혔다. 내수 부진과 경기 침체, 인건비 상승 등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
중소기업의 접대비 / 출처 : 연합뉴스

여기에 생산인구까지 감소하면서 중소기업 인력 부족 현상까지 겹치자 사람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제조 중소기업과 서비스 중소기업 모두 내년 경기를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한 전문가는 중소기업의 활력을 위해서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강조한 바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2

관심 집중 콘텐츠

테라파워

“한국산으로 주세요”…’반도체급 블루오션’에 조용히 웃는 기업들

더보기
매트리스

잠잘 때 매일 사용했는데 “속임수였다니”… 이젠 못 믿겠다 ‘난리’

더보기
노후 준비

1억 넘게 모았지만 “아직 부족해요”…불안 호소하는 506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