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심리학자가 밝힌 ‘시간의 비밀’
나이가 들수록 1년이 일주일처럼 느껴지는 이유
뇌 속 ‘시간세포’가 시간 인식 좌우한다

“왜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걸까?” 많은 사람들이 한 번쯤은 가져봤을 의문이다.
과거에는 심리적 요인으로만 설명되던 이 현상이, 일본에서 연구를 통해 뇌의 특정 영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기억 형성과 직결된 뇌 해마의 ‘시간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시간 감각

프랑스 심리학자 폴 자네가 발표한 ‘자네의 법칙’에 따르면, 심리적 시간은 연령과 반비례 관계에 있다.
1살 아이에게 1년이 365일로 느껴진다면, 20세가 되면 18.3일, 40세는 9.1일로 줄어든다.
더 나아가 50세가 되면 1년이 단 7.3일처럼 느껴지며, 80대 이상은 4.6일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디지털 시대, 더 빠르게 흐르는 시간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보급은 현대인들의 시간 체감을 더욱 빠르게 만들고 있다.
SNS를 보거나 웹서핑을 할 때, 우리의 뇌는 지속적으로 짧은 정보들을 빠르게 소비하게 되는데, 이는 시간세포의 활동을 둔화시켜 시간이 빨리 가는 것처럼 느껴지게 한다.
즉, 정보가 풍부한 현대 사회일수록 시간이 더 빠르게 지나가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체감 시간을 늘리는 방법

전문가들은 시간이 빨리 가는 것을 늦추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다.
매일 20분 이상의 걷기 운동이나 새로운 언어 학습, 악기 연주 등 뇌를 자극하는 활동이 기억 형성과 체감 시간 확장에 도움이 된다.
특히 수면 관리도 중요하다. 숙면은 시간과 공간 관련 기억을 강화하고 새로운 기술 습득에도 필수적이다.
식단 관리도 빼놓을 수 없는데, 오메가-3가 풍부한 생선과 견과류, 항산화 성분이 많은 과일과 채소 섭취가 도움이 된다.

일본 경제지 닛케이는 “일상적인 통근 경로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하루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작은 변화로도 시간을 더 풍성하게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일상의 다양한 자극이 시간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가들은 친구들과의 만남이나 자원봉사 활동 등 사회적 활동도 추천한다.
사회적 활동이 활발한 사람들은 기억력 감퇴가 더 적게 나타나며, 이는 결과적으로 시간을 더 충실하게 느끼는 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