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조선 ‘벌크선 왕국’ 흔들
트럼프 조치 직격타에 수주 급감
한국 조선업계, 반사이익 기대 커져

“이제 트럼프가 배까지 막으려고 한다.”
지난 1월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발표한 중국산 선박에 대한 강력한 제재 예고가, 결국 중국 조선업계를 뒤흔들기 시작했다.
미국 입항 선박에 최대 150만 달러의 수수료를 물리겠다는 조치가 구체화되자, 1분기 중국 벌크선 수주량은 13건에 그치며 1993년 이후 3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벌크선 수주 ‘90% 급감’… 中 조선 ‘견제’ 본격화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가 15일 보도한 하우 로빈슨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조선업체의 벌크선 수주량은 지난해 동기(143건) 대비 무려 90.9% 줄었다.
벌크선은 석탄, 철강 등 원자재를 대량 운송하는 선박으로, 중국은 이 시장에서 60%에 육박하는 점유율을 기록해 왔다.
업계는 이 같은 변화가 미국의 규제 방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본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일 중국산 선박을 겨냥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조선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USTR은 올해 1월, 중국 정부가 자국 조선·해운업에 과도한 재정 지원을 하고 외국 기업에 장벽을 쳐 미국 상업 활동을 방해하고 있다며, 무역법 301조에 따라 중국 조선소와 선사들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현재 미국은 자국 항구에 들어오는 중국 선박에 대해 최대 150만 달러(약 21억 원)의 입항 수수료 부과를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에 150만 달러, 중국 선사 소속 선박에는 100만 달러를 부과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 조선 ‘훈풍’ 기대… LNG운반선 수주 확대 조짐
중국이 주춤하자 한국 조선업계에는 기대감이 감돌고 있다. 트레이드윈즈는 미국 LNG기업 ‘벤처 글로벌’이 최근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한국의 빅3 조선소를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벤처 글로벌은 18만㎥급 LNG운반선 4척에, 추가 8척을 옵션으로 더한 최대 12척 규모의 대규모 발주를 검토 중이다. 계약은 이르면 올해 2분기 말 체결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입찰에서 중국 조선소는 아예 배제됐다. 미국이 자국 해운·조선 생태계 재건을 이유로 중국과의 무역 장벽을 높이면서, 한국 조선업계가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셈이다.
현재 국내 조선소는 단가가 높은 LNG운반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중심의 수주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의 ‘배까지 막는’ 대중 규제 전략이 중국의 조선업을 흔들고, 동시에 한국의 숨통을 틔우는 모양새다. 조선업계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으면서도 신중한 기대를 드러내고 있다.
중국이 망해서 우리가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