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늘어나는 비정규직 비중,
그러나 격차도 벌어지고 있다?
수도권 지역에 사는 A씨가 직장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하기 시작한 지 벌써 1년이 넘었다.
주변인들은 비정규직인 A씨를 염려하면서 하루라도 빨리 정규직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라고 말하지만, A씨의 생각은 다르다. 비정규직 생활에 만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근무 시간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업무 내용도 비교적 부담이 덜하다는 A씨.
물론 정규직만큼 급여와 복지를 누릴 수 없다는 점은 아쉽지만, 비정규직 동료들이 늘어 외롭지도 않다.
최근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이 눈에 띄게 늘면서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지난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약 845만 9천 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33만 7천 명이나 증가하면서 임금근로자에서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만 무려 38.2%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였던 2021년 다음으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전문가들은 고령층과 여성의 시간제 일자리 비중이 비정규직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는 27만 9천 명이 늘어났으며, 특히 시간제 일자리에서 많은 증가를 보였다.
같은 기간 남성 비정규직 근로자가 5만 8천 명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여성 증가 폭이 5배 가까이 되는 셈이다.
또한 60세 이상 비정규직은 33.2%에 달하며, 통계청은 60대 이상 고령자의 요양보호사 등의 일자리 증가와 20대 청년층의 숙박음식업 참여가 비정규직 확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비정규직 비중은 늘어나는데, 차별은 그대로
그러나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 문제도 함께 수면 위로 떠올랐다.
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비정규직 임금은 올해 처음으로 평균 200만 원을 넘었으나, 정규직과의 임금 격차는 174만 원으로 역대 최대 폭을 보였다.
실제로 지난 4월, 고용노동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분기 동안 35개 기업에서 185건의 비정규직 차별 사례가 적발되었다.
주요 사례로는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에게 식대, 건강검진비, 명절 선물비 등을 적게 지급한 경우가 다수였다.
또한,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성희롱 및 육아지원 제도 위반 사례도 발견되었으며, 정부는 이들 기업에 대한 시정 조치를 지시하고 성희롱 발생 사업장에는 가해자 징계를 요구했다.
전문가들은 비정규직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차별적인 처우 개선과 관련 법·제도의 강화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저 임금격차는 아무 의미없는 통계 아님? 월급이 아니라 시급으로 환산해야 맞는거 아님? 비정규직에 시간제 근로자도 포함된건데 단순히 근로시간이 적어서 임금이 적은것도 비정규직 평균에 포함되는거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