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삼성 마저 밀렸다” LG만 3위 유지.. 무슨 일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성장 속
국내 3사 점유율 소폭 하락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감소
삼성SDI 미래모빌리티엑스포 부스/출처-삼성SDI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중국 기업들의 공세에 밀려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1~9월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총 사용량은 전년 대비 23.4% 증가한 599.0기가와트시(GWh)로 집계됐다.

한국 배터리 3사 점유율 20.8%로 하락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3.4%포인트 하락한 20.8%를 기록했다.

전체 사용량은 증가했으나 중국 기업들의 급성장과 해외 진출 확대로 인해,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중국 CATL BYD 배터리 점유율
출처-SNE리서치/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72.4GWh의 배터리 사용량을 기록하며 3위를 유지했다. 점유율은 12.1%에 그쳤다.

테슬라 모델 3·Y, 폭스바겐 ID.4, 현대차 아이오닉 6 등 주요 전기차 모델의 견조한 판매량 덕에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 방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SK온은 28.5GWh의 사용량으로 5위에 자리했으며 현대차 아이오닉 5와 EV6, 메르세데스 벤츠 EQA의 판매 회복이 성장의 발판이 됐다.

그러나 점유율은 4.8%에 불과해 5위 자리를 지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삼성SDI는 BMW와 리비안의 판매 호조로 5.4% 성장한 23.9GWh를 기록하며 7위(점유율 4.0%)에 올랐다.

중국 CATL BYD 배터리 점유율
출처-SNE리서치/연합뉴스

중국 CATL과 BYD의 공세

한편 중국 CATL은 26.5% 성장한 219.6GWh의 배터리 사용량으로 세계 1위 자리를 유지하며 시장 점유율 36.7%를 차지했다.

CATL의 강력한 점유율은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뒤이어 2위를 차지한 BYD는 28.0% 증가한 98.5GWh로 점유율 16.4%를 기록, 아시아와 유럽 시장까지 빠르게 진출해 영역을 확장하는 중이다.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감소
출처-SNE리서치/연합뉴스

일본 파나소닉은 테슬라 모델3 페이스리프트의 판매량 감소 여파로 -20.2% 역성장하며 25.7GWh에 그쳐 6위에 머물렀다. 향후 테슬라 2170 및 4680 배터리 셀의 출시를 통해 점유율 회복을 노리고 있다.

미국·유럽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이 관건

SNE리서치 관계자는 “미국에서는 첨단제조세액공제(AMPC) 덕에 한국 배터리 3사에게 긍정적인 요인이 많지만, 유럽에서는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며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완성차 업체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가 필수적이며 신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해진 시기”라고 말했다.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 감소
SK온 서산 공장 전경/출처-SK온

국내 배터리 3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글로벌 점유율을 다시 끌어올리기 위해 시장 다각화 전략과 기술 혁신을 꾀하고 있다.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주요 지역에서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것이 향후 시장 주도권을 지키는 열쇠가 될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의 확장 속도가 빨라지면서, 한국 배터리 3사가 이 치열한 경쟁에서 어떤 전략을 펼칠지 더욱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5

  1. 성능 하나만 보고 화재 위험성 높아 생명 경시하고 삼원계만 파고 들때부터 예견된일이다

관심 집중 콘텐츠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5만대 돌파

“전기차? 필요 없다”… 5만대 돌파 앞둔 ‘이 시장’

더보기
웨이모 로보택시 상용화

꿈꾸던 상황이 “마침내 현실로”…서울에서도 본격 시동

더보기
기아 1분기 영업이익 감소

“기아가 결국 해냈다”…1분기, 역대급 기록 달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