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살이 ‘팍팍’하다 싶더니 “이유 있었다”…놀랄 만한 통계 결과

보험료, 수리비, 학원비 줄줄이 인상
생활비 압박의 중심에 ‘서비스 물가’
물가
서비스 물가 상승 / 출처 : 연합뉴스

“마트만 비싼 줄 알았는데, 병원비랑 수리비도 예전 같지가 않다.”

물가 부담의 주범이 먹거리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물가 지표를 보면 ‘외식’을 뺀 서비스 분야의 가격도 3% 넘게 뛰었다. 이른바 ‘숨은 물가’다.

‘조용한 지출’이 더 아프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외식 제외 서비스 물가지수는 116.99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3.4% 오른 수치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1%)보다 훨씬 높다.

물가
서비스 물가 상승 / 출처 : 연합뉴스

외식 제외 서비스 물가란, 미용실·학원·보험·수리·렌털 같은 직접 구매하는 서비스의 가격이다. 공공요금이나 외식비를 뺀 일종의 ‘생활밀착 물가’다.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건 컴퓨터 수리비다. 출장비 인상 등이 반영되며 무려 47.6%나 올랐다.

그 외에도 콘도 이용료(17.6%), 보험서비스료(16.3%), 가전제품 수리비(13.5%) 등의 상승률이 눈에 띈다. 그야말로 보이지 않게, 하지만 확실히 부담을 늘리는 지출이다.

물가
서비스 물가 상승 / 출처 : 연합뉴스

교육 서비스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닝 이용료(9.4%), 가정학습지(6.8%), 취업학원비(4.1%), 학원 기숙사비(4.1%) 등 자녀 교육비 부담도 덩달아 늘고 있다.

실손보험, 수리비, 교육비…‘생활 세금’ 된 서비스비

서비스 물가가 고공행진을 시작한 데는 몇 가지 배경이 있다. 무엇보다 실손보험료가 지난 1월부터 차례로 인상됐고, 지난달에는 1세대 실손보험까지 보험료가 오르며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

또 컴퓨터나 가전제품의 출장 수리비도 동반 상승했다. 이는 단순히 기술료가 오른 것이 아니라 인건비, 운송비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다.

물가
서비스 물가 상승 / 출처 : 연합뉴스

일부 품목은 부품값 인상보다 ‘사람값’이 더 큰 변수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편 4월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넉 달 연속 2%대를 유지하고 있다. 가공식품, 축산물, 수산물의 가격이 주목을 받았지만, 근원물가를 보면 상황이 달라진다.

근원물가는 국제유가나 계절 요인에 크게 흔들리는 품목을 뺀 물가 지표다. 최근에는 오히려 근원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런 흐름은 소비자가 느끼는 ‘체감 물가’가 통계 수치보다 더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장바구니 물가가 다소 안정세를 보이더라도 가계는 여전히 ‘살림이 팍팍하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

물가
서비스 물가 상승 / 출처 : 연합뉴스

서비스 물가는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곁에서 조용히 오르고 있다. 서민들에게 더욱 치명적으로 다가오는 생활비 압박의 해결 방안에 대한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6

  1. 최저시급 무리하게올린댓가,임금오르면 모든 물가 당연히 오라가지요 문씨는 대통령감이아니었다.

  2. 상위층이 자본을 독점하고 또 그것을 이자나 부가수입 등으로 화폐량을 늘리고 있어서 물가가 오를 수도 있지

  3. 이어서 다른 분들 말대로라면 최저임금을 올리지 말고 최저임금 받는 사람들이 체감 물가 압박을 받고 생활비 압박에 시달려야 한다는 건데 그건 약자 착취지

  4. 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다른 분들 말대로라면 최저임금을 올리지 말고 최저임금 받는 사람들이 체감 물가 압박을 받고 생활비 압박에 시달려야 한다는 건데 그건 약자 착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