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폭탄이 가져온
전 세계 경제의 지각변동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무역 정책이 세계 경제에 거대한 충격파를 던질 전망이다.
트럼프는 취임 직후부터 중국을 포함한 모든 수입품에 대대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해 왔으며,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60%에서 100%까지의 고율 관세를 검토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자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내년도에 더욱 강력한 재정 정책을 시행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자국 내 수요 촉진과 경기 부양을 위한 10조 위안(한화 약 1943조) 규모의 지원책을 발표했다.
중국 경제는 올해 예상 무역흑자가 약 1조 달러에 이를 만큼 수출 의존도가 높은 상태다.

특히 미국을 상대로 한 무역 흑자가 증가하는 추세로, 무역 흑자의 주요 대상국인 미국이 중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중국의 경제 성장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UBS와 모건 스탠리 등 글로벌 경제 전문가들은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경우 중국의 성장률이 2%포인트가량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의 무역 정책이 단순히 중국을 향한 것만은 아니다. 트럼프의 강경 무역 정책은 중국 외에도 한국, 대만, 베트남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도 타격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 경제에도 도미노 타격 가능성

한국, 대만,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은 미국을 상대로 높은 무역 흑자를 기록 중인데, 특히 한국은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 흑자 규모가 약 444억 달러에 달하며 그중 자동차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무역 적자를 줄이는 데 집중하면서 한국과 대만 등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관세를 부과할 위험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를 두고 글로벌 투자은행 바클리스는 “한국 등 아시아 신흥 경제국이 무역 관세로 인한 고통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또한,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일부 국가들이 통화 정책을 조정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인도 중앙은행은 만약 중국이 위안화를 절하하여 자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려 할 경우, 인도 역시 루피화 가치를 낮출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히며 통화전쟁 가능성을 암시했다.
세계은행의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상황이 결국 아시아의 신흥 경제국들에게는 더 큰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무역 보호주의가 강화되면서, 미·중 무역 갈등이 확대되고 중국 외의 아시아 국가들도 그 영향권에 놓이게 된 셈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강화된 무역 정책이 미·중 무역 전쟁을 넘어 아시아 전역에 영향을 미치며 긴장감을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각국이 어떤 대응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그리해봐야 미국만 망하는길이여, 도블어 살어야지 독선은 안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