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반도체’ 잘 나가더니… “전 세계가 반했다” 생산액 급증에 ‘활짝’

김 수출 호조에 생산액 급증
해양수산부, K-수산물 확장 전략 발표
수산물
K-수산물 수출 호조 / 출처 : 뉴스1

“이제 김도 수출 효자 품목이 됐다.”

‘검은 반도체’라 불리는 한국산 김의 생산액이 지난해 1조 원을 돌파했다.

세계 시장에서 K-푸드 인기가 높아지면서 김 수출이 급증했고, 이에 발맞춰 해양수산부도 K-수산물의 글로벌 확장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김 생산량은 55만 1516t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산물
K-수산물 수출 호조 / 출처 : 연합뉴스

하지만 생산액은 6323억 8800만 원에서 1조 2037억 원 수준으로 1년 새 90.3% 급증했다.

이로써 김은 어업 품목 중 최초로 ‘1조 클럽’에 가입하며 한국 수산업의 대표 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김 생산액이 급증한 이유는 수출 호조와 일본의 작황 부진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산 김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25.8% 증가한 9억 9700만 달러로 10억 달러에 육박했다.

수산물
K-수산물 수출 호조 / 출처 : 연합뉴스

세계적으로 김을 생산하는 국가는 한국, 일본, 중국 세 곳뿐인데, 지난해 일본에서 김 작황이 부진하면서 한국산 김이 반사이익을 얻었다.

해양수산부의 K-수산물 글로벌 확장 전략 발표

김의 글로벌 인기가 높아지자 해양수산부는 김을 비롯한 K-수산물 전반의 수출 확대 전략을 발표했다.

올해 목표는 수산 식품 수출 31억 5000만 달러(약 4조 5410억 원) 달성이다.

수산물
K-수산물 수출 호조 / 출처 : 연합뉴스

해수부는 이를 위해 김과 참치 같은 주요 수출 품목을 집중 육성하는 동시에 굴·전복·어묵 같은 차세대 유망 품목을 발굴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김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신품종 개발, 마른김 등급제 도입, 국제 김 거래소 설립 등을 추진해 김 수출 주도권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러시아·프랑스·캐나다 등 새로운 국가로 시장을 확장하고, 국가별 맞춤형 제품 개발을 통해 K-수산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예정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올해 세계 김 시장의 70%를 차지하는 ‘K-GIM’ 브랜드를 확산하고, 굴과 전복 등 유망한 수산식품을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수산물
K-수산물 수출 호조 / 출처 : 연합뉴스

또한 며 “비관세 장벽 확대에 대응해 수출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K-수산물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라고도 강조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세계적인 K-푸드 열풍을 바탕으로 한국산 김은 이제 글로벌 시장에서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수출 전략이 맞물리면서 K-수산물이 해외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기대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4

  1. 이런 호황에 김 생산 및 가공에 정부는 보다 더 위생과 자동화 등에 행정적 지도와 지원을 통해 국제적 경쟁력을 높혀 나가야 할 것이다

관심 집중 콘텐츠

동해 가스전 입찰 개시

“한국도 산유국?”…’대왕고래’ 끝났지만, 정부 재시동 걸었다

더보기
빠른배송

“쿠팡만 주 7일? 우리도 질 수 없다”… 패션업계 휩쓴 ‘트렌드’

더보기
부실기업 임금체불 증가

“못 받은 돈만 500만 원 넘는데”… 이번 달도 위험하다? 근로자들 ‘눈물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