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의 선택은 한국이 아니었다
반도체 강국이라던 한국, 왜 밀렸나
AI 시대, 이제는 ‘부품국’ 그칠까 걱정

“아니, AI 중심지라면 한국이 먼저 떠올라야 하는 거 아니야?”
인공지능(AI) 반도체 세계 최강으로 꼽히는 엔비디아가 아시아 거점으로 ‘대만’을 선택하면서, 상대적으로 한국은 점점 뒤로 밀려나는 분위기다.
엔비디아가 ‘대만에 집 짓는다’고 선언한 이유
지난 19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행사에서 새로운 계획을 공개했다.

젠슨 황은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슈퍼컴퓨터를 만들고, 엔비디아의 아시아 신사옥인 ‘별자리(콘스텔레이션)’도 대만에 짓겠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는 단순한 건물 이야기만이 아니다. 슈퍼컴퓨터는 대규모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핵심 인프라다.
젠슨 황은 “대만은 교육과 과학 기술을 국가 차원에서 키우는 곳이며, 엔비디아의 중요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프로젝트엔 대만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총출동했다. 반도체 생산 세계 1위인 TSMC, AI 서버를 만드는 폭스콘, AI 칩 설계 기업 미디어텍까지 모두 참여한다.

대만은 말 그대로 ‘AI 생태계’의 모든 부품을 스스로 생산할 수 있는 나라다.
반면 한국은 엔비디아가 직접 언급한 파트너 명단에서 빠져 있었다. 물론 SK하이닉스가 만드는 고성능 메모리는 여전히 중요한 부품이다. 하지만 문제는 그 외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존재감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AI 반도체는 단순히 메모리로만 돌아가지 않는다. 칩을 설계하고, 포장(패키징)하고, 서버에 넣어 작동시키는 전체 과정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한 생태계를 갖춘 나라가 바로 대만이다.
반도체 강국? 현실은 ‘부품 납품국’

상명대 이종환 교수는 “한국은 메모리만 강할 뿐 시스템반도체, 즉 두뇌 역할을 하는 칩에는 약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한국의 시스템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2.3%에 불과하고, 대만은 7.7%로 3배 이상 앞서 있다.
한국은 삼성전자라는 대기업이 있지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분야에서 TSMC와의 격차는 10조 원 이상 벌어져 있다. 특히 AI 전용 칩 생산에서는 TSMC가 엔비디아와 손잡고 확실한 주도권을 쥐고 있다.
이 교수는 “지금처럼 메모리에만 집중하면, AI 시대에 한국은 부품만 공급하는 나라로 전락할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 모두 시스템반도체 기술을 키우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AI가 산업의 핵심이 되는 시대다. 지금의 선택과 투자가 앞으로 10년, 20년 후 한국의 기술 위상을 좌우할지도 모른다.
천재 한사람이 100,000몀을
먹여살린다는 말이 있다
한국에도 천재가 나오길 기다린다
그동안 정부와 기업은 뭘했나.대만은 기업가의 도전정신과 정부가 밀어주어 국책사업으로 키워 오늘날 세계최고의 기업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