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만에 쾌거, 한국이 달라졌다”…1653조 시장, 이제 시작

“유럽 강국들 제치고 수주한 첫 깃발”
세계 원전 시장 재점화 속 K-원전 주목
새 정부 실용노선에 산업 생태계 기대감
원전
원전 시장 부흥 전망 / 출처: 연합뉴스

체코 원전 프로젝트에서 세계적 원전 강호들을 제치고 거둔 승리가 한국 원자력 산업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광고

세계 5대 원전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한 한국의 ‘K-원전’이 새로운 글로벌 시장에서 더 큰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유럽 시장 첫 진출, 원전 강국들 제치고 이룬 쾌거

15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원전 업계 등에 따르면, 한수원은 지난 4일 체코전력공사 산하 두코바니Ⅱ 원자력발전사와 두코바니 5·6호기 건설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원전
원전 시장 부흥 전망 / 출처: 연합뉴스

체코 정부 추산 총사업비 26조 원이 투입되는 이 프로젝트는 체코 역사상 최대 규모 투자 사업으로 기록된다.

이번 수주는 2009년 아랍에미리트 바라카 원전 이후 15년 만에 이뤄낸 해외 수출 성과다.

특히 유럽 원전 시장에서 프랑스전력공사와 미국 웨스팅하우스 같은 세계적 원전 기업들을 제치고 얻어낸 승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국의 기술력을 유럽이라는 까다로운 시장에서 인정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한수원 중심의 ‘팀코리아’가 이들 원전 강국을 따돌릴 수 있었던 핵심 경쟁력은 ‘온타임 위딘 버짓'(정해진 예산으로 예정대로 준공)이라는 강점이다.

광고
원전
원전 시장 부흥 전망 / 출처: 연합뉴스

한국 원전은 비용 효율성과 정확한 일정 준수로 세계적 인정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강점은 앞으로 다른 국가들과의 경쟁에서도 중요한 무기가 될 전망이다.

세계는 다시 원전으로… 1653조 원 시장 기회

이러한 한국의 성과가 더욱 빛나는 이유는 지금 전 세계적으로 원전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과 전기차 등 미래 첨단산업 발전을 위한 안정적 전력 공급원으로 원자력 발전이 재조명받고 있는 상황이다.

원전
원전 시장 부흥 전망 / 출처: 연합뉴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원전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미국은 현재 100GW 수준인 원자력 발전 용량을 400GW까지 확대하고, 2030년까지 대형 원전 10기 착공을 목표로 하는 적극적인 원전 확대 정책을 추진 중이다.

광고

과거 탈원전 정책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유럽에서도 원전 건설이 활발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시장 규모에도 반영되고 있다. 세계원자력협회는 2035년까지 글로벌 원전 시장 규모가 165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원전
원전 시장 부흥 전망 / 출처: 연합뉴스

국제원자력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344기의 신규 원전이 건설 계획 중이며, 이 중 88기는 향후 15년 내 건설될 예정이다.

현재 원전 수출이 가능한 국가는 한국을 포함해 미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등 5개국뿐이다.

이중에서도 중국과 러시아는 서방과의 지정학적 갈등으로 수출에 제약을 받고 있어, 기술력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한국 원전산업에 새로운 기회의 문이 더욱 넓게 열리고 있다.

실용 노선 택한 새 정부, 원전 산업 생태계 회복 기대

원전
원전 시장 부흥 전망 / 출처: 뉴스1

이처럼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회가 확대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원전 산업에 대한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하는 ‘실용’ 노선은 에너지 정책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며, 원전 산업 생태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새 정부는 재생에너지 확대에 방점을 두면서도 원전을 기저전력으로 활용하는 ‘에너지 믹스’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노후 원전 수명 연장’을 직접 언급하며, 현재 운영 중인 원전만으로도 2060년까지 활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원전
원전 시장 부흥 전망 / 출처: 연합뉴스

이는 탈원전보다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리면서 원전 의존도를 조정하겠다는 균형 잡힌 접근법이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에너지전환이라는 명분으로 원전을 원천 배제하는 극단적 정책이 아닌, 새 정부가 내세운 균형 잡힌 에너지믹스를 기대한다”며 “겨우 회복 중인 원전 생태계를 다시 위기에 빠뜨려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체코 원전 수주를 시작으로 한국 원전 산업의 글로벌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9

  1. 이거 원천기술료 주고 나면 손해라던데.. 뉴탐사 원자력 시리즈보면 됨.. 전문가 매번 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