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용산 거래 급감
50억 이상 고가 아파트는 신고가 행진
올해 거래량 전년보다 2배 늘어

서울 부동산 시장이 겨울잠에 빠진 듯하지만, 일부 지역에선 여전히 뜨거운 열기가 감지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대다수 지역의 거래가 얼어붙은 가운데, 강남 일대 초고가 아파트는 오히려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며 부동산 시장의 온도차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무풍지대’ 된 고가 아파트 시장
1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 10일까지 서울에서 신고된 50억 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163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73건보다 무려 2.2배 많은 수치다. 특히 100억 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지난해 6건에서 올해 8건으로 증가했다.
서울시가 지난 3월 24일부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 아파트로 확대 지정한 이후 대부분의 거래가 급격히 감소했음에도, 고가 아파트 시장은 마치 별개의 세계처럼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프리미엄 지역으로 몰리는 자금
이러한 현상은 특히 특정 지역과 단지에 집중되고 있다. 올해 50억 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서초구 반포동이 56건으로 전체의 34%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렸다.

강남구 압구정동이 44건(30%)으로 그 뒤를 이었고, 영등포구 여의도동(12건)과 강남구 대치동(11건)도 고가 거래가 활발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반포동의 고가 거래가 지난해 같은 기간 13건(18%)에서 올해 56건(34%)으로 급증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한강변 프리미엄 단지들이 집중된 반포 지역이 최근 자산가들 사이에서 더욱 각광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압구정동 ‘한양’ 아파트의 전용면적 208㎡(69평)는 이달 3일 85억 원에 매매돼 직전 거래 대비 불과 3개월 만에 8억 원이 상승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100억 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는 용산구 한남동에 집중됐는데, 한남더힐 243.2㎡가 지난달 175억 원에 거래되며 올해 서울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154.97㎡는 올해 2월 100억 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기록했고,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 159.6㎡도 2월 135억 원에 거래되며 직전 거래가보다 25억 원 오른 가격을 기록했다.
엇갈리는 부동산 시장 흐름의 이유
이처럼 특정 단지와 지역의 고가 아파트들은 시장 전반의 침체와 상관없이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는 한편, 일반 부동산 시장은 규제의 직격탄을 맞았다.

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3월 셋째 주 100.6에서 다섯째 주 98.7로 하락했다.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및 재지정 이후 서초구와 용산구는 같은 기간동안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거래신고가 단 한 건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반된 시장 동향에 대해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심층적인 분석을 내놓았다.
“자산가들에게는 주택이 단순한 거주나 투자 목적을 넘어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고 있다”며 “뷰가 남다른 한강변 신축 아파트, 희소성 있는 곳에 거주하려는 수요층이 계속해서 높은 가격으로 아파트를 사들이며 기존과는 다른 시장이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심화되면서 갈아타기 수요와 기존의 빌딩 투자 수요까지 초고가 아파트 시장으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국 서울 부동산 시장은 일반 주택 시장이 침체되는 가운데, 초고가 프리미엄 주택 시장은 독자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 분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 것이다.
빈익빈ㆍ부익부의 양극화를 굳히기에 들어감
사는사람 잇으면, 파는사람도 잇는건데… 계속 오를건데…왜팔지?? ㅋㅋ
그래 그래 잘 사고 잘 팔아
살 능력도 없지만 빚내서 사고 싶지도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