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까지 연체 잔액 49조 4천억 원
채무조정제도 적극 활용 필요
“카드값 연체되고 독촉 전화는 오는데, 팔 만한 물건도 없어요. 이제 어떡하죠…”
한 카드 연체자의 절박한 하소연이다. 최근 금융권의 대출·카드론 연체자가 600만 명을 돌파하며 서민들의 한숨 소리가 깊어지고 있다.
마치 빚의 블랙홀에 빠진 것처럼 벗어날 길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호소다.
하루가 두렵다…폭증하는 연체자들의 고통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기준 연체자 수는 614만 4천 명으로 집계됐다.
연체 건수는 2천146만 건에 달했고, 연체 잔액은 49조 4천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8분의 1에 해당하는 규모다. 서울, 부산, 대구를 합친 인구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빚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특히 올해 들어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에 접수된 불법 사금융 상담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1월부터 10월까지 상담 건수는 4만 2천409건으로, 이미 작년 전체 상담 건수의 4배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합법적인 대출이 막히자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서민들이 늘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환율·금리 상승이 서민 가계 직격탄…이중고에 신음
고환율과 고금리가 서민들의 삶을 더욱 힘들게 만들고 있다.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 물가가 상승해 생활비 부담이 커졌고, 이는 가계의 대출 상환 능력을 약화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금융권 전문가들은 “환율 변동성이 클 경우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이는 대출자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특히 가계부채가 높은 상황에서는 연체율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서민들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여기에 고금리로 인한 이자 부담까지 더해져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3개월만 지나면 내용증명…”절벽 앞에 선 서민들의 마지막 선택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연체로 고통받는 이들의 하소연이 이어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카드론 절반을 갚았는데도 이번 달은 도저히 갚을 수 없을 것 같다”며 “독촉 전화를 받을 용기조차 없다”고 털어놨다.
다른 누리꾼은 “물건이라도 팔아서 갚으라고 하는데 팔 만한 게 없다”며 “신용등급이 추락하는 게 눈에 보이는데 속수무책”이라고 한탄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체가 3개월을 넘기면 내용증명이 발송되고 이후 압류 절차가 진행된다”며 “연체 장기화를 막기 위해서는 조기에 채무조정을 신청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실제로 연체가 장기화되면 신용점수 하락은 물론, 취업과 주거 계약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조기 대응이 필수적이다.
해법은 있다…채무조정제도 적극 활용해야
금융권은 연체 위기에 처한 서민들을 위해 다양한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신용회복위원회의 개인워크아웃제도나 법원의 개인회생제도 등을 통해 채무 상환 기간을 연장하거나 이자를 감면받을 수 있다.
한 금융 상담사는 “연체 초기에는 채권자와의 협상을 통해 분할 상환 등의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며 “상황이 악화되기 전에 전문가와 상담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채무조정제도를 이용하면 독촉 전화도 끊기고, 계획적인 상환이 가능해져 심리적 부담도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연체 위기에 처했다면 먼저 본인의 소득과 지출 내역을 꼼꼼히 점검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여기에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 합리적인 채무 조정 방안을 찾는다면, 빚의 터널에서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건설사 살리려고 부동산 투기로 영끌들 빛더미 만든 언론 플레이와 가짜뉴스와 두기꾼들 모두 벌받거라
윤석열 대통령복귀가 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