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청년층 줄어…근로자 60%가 5060
건설업 전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커
한때 대한민국 경제성장을 이끌던 건설업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현장은 텅 비어가고, 남은 인력마저 고령화되면서 산업 전반에 빨간불이 켜졌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건설업 청년층 취업자는 13만1000명으로, 불과 1년 만에 3만7000명이나 감소했다. 특히 졸업 후 첫 직장으로 건설업을 선택하는 청년들은 전체 산업군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건설기술인 평균 연령, 불과 20년 새 13세↑
현장을 찾아가보면 50~60대 고령 근로자들이 대부분이다. 한국건설인정책연구원의 조사 결과, 전국 건설기술인 100만9144명 중 20~30대는 고작 15만8503명(15.7%)에 불과했다.
반면 50~60대는 57만8192명으로 전체의 57.3%를 차지했다. 젊은 피가 수혈되지 않으면서 건설기술인의 평균 연령은 51.2세까지 치솟았다.
이는 작년 대한민국 전체 근로자 평균 연령인 43.8세보다 무려 7.4세나 높은 수치다.
청년들이 건설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건설산업비전포럼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406명의 청년 직장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청년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조건은 ‘연봉’이었지만,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조직문화, 근무환경과 같은 요소 역시 크게 작용했다.
설문에 따르면 건설 관련 전공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는 72%로 높았지만, 졸업 후 직업으로 건설업을 선택하려는 의향은 매우 낮았다. 특히 응답자의 93%가 “건설산업의 이미지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현직 건설업 종사자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10명 중 4명이 이직을 고려하고 있으며, 미래 전망에 대해서도 37%가 부정적으로 응답했고, 41%는 ‘보통’이라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정부는 외국인 근로자 유입 확대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법무부는 숙련기능인력(E-7-4) 비자 제도를 개선해 업체당 채용 가능 인원을 늘리기로 했다.
국토교통부 역시 내년부터 일반기능인력(E-7-3) 비자 도입을 시범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건설업계는 콘크리트공과 철근공 등 직종별로 약 300명의 일반기능인력 비자 도입을 요청한 상태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전문가들은 건설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단순한 인력 수급 대책을 넘어선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청년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연봉, 워라밸, 조직문화, 성장가능성 등을 개선하고,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통한 작업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특히 건설산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과 처우 개선이 필수적이다.
대한민국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해온 건설업이 갈림길에 섰다. 청년들의 외면은 단순한 인력난을 넘어 산업 전체의 존속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정부와 업계의 혁신적인 변화 없이는 이 위기를 극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람이 죽어나가는데 누가 10만원받고 목숨거나
직장내 안전한 작업환경때문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