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시장 뒤흔든 ‘코인왕’의 충격적 혐의
단 한 달 만에 재구속된 ‘존버킴’
고도로 조직화된 가상자산 범죄 네트워크

가상자산 업계가 또 한 번 큰 충격에 휩싸였다. ‘존버킴’으로 알려진 박 모 씨가 수천억 원대 코인사기 혐의로 재구속되면서 투자자들의 분노와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석방에서 구속까지 단 한 달, 3배 더 큰 사기 혐의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는 박 모 씨를 사기 등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고 10일 발표했다.
검찰은 박씨와 공범인 코인 플랫폼 개발사 대표 문 모 씨가 2021년 3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아튜브’라는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허위공시와 시세조종으로 투자자들에게 2600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포착했다.

이 금액은 박씨가 기존에 재판받고 있던 ‘포도코인’ 사기 액수인 809억 원의 세 배를 넘는 규모다.
포도코인 사건은 박씨가 2021년 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가상화폐를 발행하고 가격을 인위적으로 조작한 뒤 전량 매도해 800억 원 넘는 투자금을 편취한 사건이다.
그는 이 사건으로 수사를 받던 중 해외 도주를 시도하다 목포 해경에 적발되기도 했다.
박씨는 올해 1월 22일 보석으로 석방됐으나, 한 달 만인 2월 20일 이 새로운 혐의로 재구속된 것이다.

호텔에 ‘시세조종팀’ 상주, 고도로 조직화된 범행
‘코인왕’으로도 불리는 박씨의 범행 수법은 매우 치밀했다. 검찰 조사에 따르면 그는 고급 호텔 등에 ‘시세조종팀’과 ‘리딩방팀’을 분산 상주시키며 주도면밀하게 역할을 지시했다.
특히 포도코인의 경우, 12명의 개발자와 충분한 재정을 확보했다고 허위로 홍보했지만, 실제 개발업체는 대표와 직원 1명뿐이었으며 코인 매도 대금도 사업에 쓰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신 범죄수익으로 초고가 차량을 구매해 소셜미디어에 과시하며 신뢰도를 높이는 전략을 사용했다.

검찰은 지난해 6월 박씨가 외딴 시골 창고에 숨겨둔 ‘부가티 디보'(추정가 73억 원), ‘페라리 라페라리'(추정가 46억 원) 등 차량 13대와 오토바이 1대를 압수했다.
가상자산 사기, 이렇게 예방하세요
이러한 대규모 사기 사건을 계기로 가상자산 투자 사기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코인 리딩방’ 참여 유도, 온라인 친분을 이용한 ‘로맨스 스캠’, 해외 거래소 사칭형 등이 주요 수법으로 꼽힌다.

금융감독원은 “신고된 가상자산 거래소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온라인 투자방이나 SNS를 통한 투자권유는 일단 의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검증되지 않은 사설 거래소 이용 시 고액 이체는 절대 금물”이라고 경고했다.
지난해 8월 사건을 담당한 검찰 관계자는 “가상자산시장 거래 질서를 어지럽히고 다수의 서민 피해자를 양산하는 범죄 세력은 철저히 수사해 엄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보석으로 풀려난 후 다시 구속된 사례에서 볼 수 있듯, 가상자산 시장의 투명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검찰이 그렇지
코인사기가 만연합니다.저또한 교묘한사기코인에 투자했다가.집안 말아먹게 생겼습니다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