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기차 소비자 인식 조사
구입의향, 인지도 등 1위 ‘BYD’
중국 전기차가 국내 시장에 진출했을 때 선택을 고려할 브랜드 1위로 BYD가 지목됐다. 또한 가장 잘 알려진 중국 브랜드이자 국내 전기차 산업에 큰 위협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브랜드 역시 BYD가 차지했다.
중국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그리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경계해야 할 국가로는 중국이 압도적으로 꼽혔다.
가장 위협적인 브랜드 1위 ‘BYD’
최근 자동차 리서치 전문 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매주 5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중국 전기차 브랜드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했다.
조사 대상 브랜드로는 BYD, 상하이모터스(SAIC), 지리, 니오, 샤오펑, 창안자동차, 지커, 아이안(광저우 자동차), 만리장성 모터스, 리오토 등 10개사가 포함됐으며 이 중 상위 3개 브랜드의 인식도만 비교 분석했다.
국내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는 중국 BYD는 인지도 조사 결과 31%로 가장 높은 인지율을 보였다. 그 뒤를 이어 상하이모터스 25%, 지리 24%로 나타났다.
이는 응답자 약 3~4명 중 한 명 꼴로 상위 3개 전기차 브랜드 인지를 의미한다.
BYD는 국내 전기차 시장에 가장 위협적인 브랜드(24%)로 인식됐으며, 국내 시장 진출 시 구매를 고려할 브랜드(13%)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동일 조사에서 상하이모터스와 지리는 각각 위협적인 브랜드 7%, 6%를 기록하고 구매 고려 브랜드는 5%씩 달성하며 BYD에 크게 뒤쳐졌다.
국내 전기차 산업이 경계해야 할 나라로 중국 지목
국내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인지도는 여전히 낮은 편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조사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브랜드를 전혀 알지 못한다는 응답이 38%에 달했다. 이는 5명 중 2명꼴로 중국 전기차 브랜드를 전혀 모른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국 전기차에 대한 위협 인식이 낮다는 응답은 46%로 나타났다. 중국 차량 구매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71%에 이르렀다. 또한 중국 전기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인식은 20%에 불과했다.
반면 앞으로 한국 전기차 산업이 경계해야 할 경쟁국으로 중국을 지목한 응답자는 46%에 달했다. 이는 미국(22%), 독일(11%), 일본(7%)보다 월등히 높은 비율이다.
호의적인 시선은 적지만, 전기차 최대 생산국이자 소비 시장으로서의 중국에 대한 경계심은 큰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중국 전기차의 국내 도입이 임박한 가운데, 인천 청라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화재 직후 8시간 20분 만에 진화된 벤츠 EQE 차량에는 중국 파라시스 테크놀로지가 생산한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가 사용됐다.
이 사건 이후 컨슈머인사이트의 컨조인트 분석에서는 전기차 추천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배터리 원산지의 국내산, 중국산 여부가 꼽혔다. 비중은 85%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