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그다음 시대, 주인공은 안경
AI는 구글, 하드웨어는 삼성이 책임졌다
10년 전 실패 딛고 다시 시장에 도전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도 길을 찾고, 외국어를 통역하며, 앞에 놓인 장면을 인식해 설명해 주는 안경이 등장했다. 이 획기적인 변화를 이끈 것은 구글의 인공지능과 삼성전자의 기기 설계력이었다.
구글의 아이디어, 삼성의 손에서 구현됐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열린 구글 개발자 콘퍼런스(I/O) 현장에서 스마트 안경 시제품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구글은 이 제품을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축적해 온 모바일 기기 및 웨어러블 기술을 바탕으로 하드웨어 제작을 맡았다.

얇은 테 안에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마이크, 터치센서 등을 고도로 집약시켰으며, 착용감과 무게까지 고려한 완성도를 보여줬다.
제품 디자인에는 패션 브랜드인 젠틀몬스터와 와비 파커가 협업했지만, 기술적 정교함과 안정성 확보는 전적으로 삼성의 몫이었다.
스마트 안경의 핵심은 ‘제미나이 라이브’라는 AI다. 하지만 그 제미나이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정교한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삼성은 눈앞에 정보를 띄울 수 있는 미세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했고, 사용자가 보는 장면을 실시간으로 AI가 인식할 수 있도록 카메라와 마이크를 최적화했다.

이 안경은 사용자의 음성이나 터치로 AI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텍스트 번역, 지도 안내, 사물 인식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삼성의 기기, 구글의 두뇌가 합쳐졌다
구글은 앞선 2013년, ‘구글 글래스’로 스마트 안경 시장에 먼저 진입했지만, 당시 기술력 부족과 시장 수용성 미비로 사업을 중단했다.
당시 구글 공동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은 “소비자 전자기기 생산의 현실을 몰랐고, 가격 문제와 완성도에서 큰 실수를 했다”고 인정했다.

이번에는 달랐다. 구글은 제미나이라는 고성능 AI를 확보했고, 삼성전자의 기기 설계와 생산 역량이 그 기반을 단단히 받쳐줬다.
스마트폰 이후를 고민하던 시장에 구글과 삼성의 스마트 안경은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손을 쓰지 않고도 정보를 검색하고, 외국어를 번역하며, 실시간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디지털 경험이 가능해졌다.
특히 고령층에게도 직관적인 UI와 음성 중심의 작동 방식은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두 기업은 하반기부터 스마트 안경 플랫폼을 외부 개발자에게 공개할 예정이며, 생태계 확장을 통해 제품 완성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삼성은 단순한 부품 조달자가 아니라, 기술 구현의 핵심 파트너로서 역할을 입증했다.

눈 위의 작은 기기 하나가 기술 패권의 중심이 된 지금, 구글과 삼성의 만남은 그 자체로 미래를 앞당긴 신호탄이 되었다.
드래곤볼 실사판 될듯!!! 스카우터라고 나중에 상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