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청년층 이탈에 인구 급감… 광역시 첫 소멸 위험 지역
세계적 매체도 경고한 ‘제2 도시의 위기’
부산의 대응책에도 “실효성 없다” 시민 우려

“세계에서 가장 출산율이 낮은 나라의 제2 도시마저 무너지고 있다.” 세계적 경제지 파이낸셜타임스(FT)가 부산의 급격한 몰락을 조명하며 이같이 지적했다.
“매력적인 도시가 쇠퇴하고 있다”
FT는 9일 ‘멸종 위기: 한국 제2의 도시, 인구 재앙을 우려하다’라는 기사에서 부산의 심각한 상황을 집중 조명했다.
매체는 “부산은 산, 해변, 영화 축제 등 모든 매력과 자산을 갖춘 도시지만 대한민국에서 가장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20세기 이후 무역의 중심지였지만 지금은 청년들의 이탈로 인해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해 6월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부산은 이미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3%를 넘어서며 광역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지역의 인구 지속성을 보여주는 ‘소멸 지수'(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수치)도 0.49를 기록해 광역시 중 유일하게 ‘소멸 위험’ 단계에 들어섰다.
또한 지난해 11월 2014년 대비 2023년 청년인구(15~29세) 비중이 0.74%포인트 감소해 전국 최대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이는 경북(0.59%포인트)과 경남(0.56%포인트)의 감소폭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388만 인구의 도시는 어디로
부산의 역사는 성장과 번영의 상징이었다. 한국전쟁 당시 임시수도가 되면서 1945년 28만이던 인구는 1951년 80만으로 급증했다.
1960~70년대에는 섬유, 신발, 조선, 자동차 부품 산업이 호황을 누리며 수출 경제의 무역 허브로 성장했다. 1995년에는 인구가 388만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산업구조 변화와 함께 부산의 운명도 바뀌었다. FT는 “한국 경제가 수도권의 반도체 공장 같은 첨단산업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대학과 연구기관도 함께 이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삼성과 LG의 발상지였던 부산에 이제는 100대 기업 본사가 단 한 곳도 없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며 지적했다.
‘인구 위기’ 해법 찾기 나선 부산시
부산시는 지난해 10월 위기 타개를 위해 인구변화대응 전담조직(TF)을 출범시켰다.
이준승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이 조직은 임신·출산 지원 확대, 청년 소득·문화 격차 해소, 기업 투자 패키지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한다.

하지만 시민들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시민들은 수도권으로 청년 유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대책들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다.
부산시의 대응이 너무 늦었고 형식적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수도권과의 격차가 계속 벌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대책만으로는 부산의 몰락을 막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러니 늙은 2찍천지군
할일 없어 출근시간에놀러 나온 노인 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