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정말 이렇게 될 줄은”…전 세계 ‘깜짝’ 놀래킨 이유가

넷플릭스서 미국 이어 2위 한국물
영국·일본 제치고 8~9% 점유 달성
김구 선생의 문화강국 꿈 실현됐다
한국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 점유율 2위 / 출처: 연합뉴스

“한국 문화의 힘이 세계를 움직이고 있습니다.” 독립운동가 김구 선생이 80여 년 전 꿈꿨던 ‘문화강국’의 비전이 오늘날 현실이 되어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글로벌 미디어 시장분석업체 암페어(Ampere)가 15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는 넷플릭스에서 미국 콘텐츠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미국 다음은 한국…전통 강자들 제치고 2위

세계 최대 OTT 플랫폼 넷플릭스에서 한국 콘텐츠의 위상이 놀라운 수준으로 높아졌다.

한국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 점유율 2위 / 출처: 연합뉴스

암페어가 넷플릭스의 시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콘텐츠는 2023년 이래 넷플릭스 전체 시청 시간에서 미국 콘텐츠(56∼59%)에 이어 2위로, 8∼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영화와 드라마 제작 강국으로 오랫동안 명성을 떨쳐온 영국(7∼8%)과 애니메이션 강국 일본(4∼5%) 콘텐츠를 모두 넘어선 수치다.

전통적으로 영국은 미국 할리우드에 이어 양질의 드라마 시리즈를 제작해 세계 시장에 공급해 왔으며, 일본은 다양한 애니메이션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한국 문화 콘텐츠가 이처럼 오랜 역사를 가진 문화 강국들을 제치고 세계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 점유율 2위 / 출처: 연합뉴스

암페어는 “현재 한국은 넷플릭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미국 외(non-US) 프로그램과 영화 500개 중 85개(17%)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표 히트작으로는 지난해 하반기 스트리밍 6억 1천990만 시간을 기록한 ‘오징어 게임’ 시즌2를 비롯해 로맨스 드라마 ‘엄마친구아들’, 요리 예능 ‘흑백요리사’ 등이 꼽혔다.

김구 선생이 꿈꾼 문화강국의 실현

이런 한국 콘텐츠의 세계적인 성공은 독립운동가 김구 선생이 1947년 ‘나의 소원’에서 밝힌 문화강국의 비전과 맞닿아 있다.

한국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 점유율 2위 / 출처: 연합뉴스

김구 선생은 해방 후 한반도의 미래를 그리며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라고 역설했다.

그의 문화강국론은 단순히 경제력이나 군사력을 과시하는 것이 아니라, 인류의 정신적 가치를 선도하고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나라가 되자는 비전이었다.

특히 그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아닌,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자 목표, 모범이 되기를 소망했다.

김구 선생이 강조한 ‘문화의 힘’은 국민 개개인의 행복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행복을 줄 수 있는 힘이며, 인의(仁義), 자비, 사랑 등 인간의 정신적 가치가 물질적 풍요나 군사력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 점유율 2위 / 출처: 연합뉴스

또한 인류의 불행은 무력이나 경제력의 부족이 아니라 인의와 자비, 사랑의 부족에서 비롯된다고 진단했다.

“25억 달러 투자”…넷플릭스도 한국 콘텐츠에 올인

이런 한국 콘텐츠의 성공은 오랫동안 확립된 콘텐츠 제작 및 라이선싱 전략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암페어는 작년 하반기 넷플릭스에서 상위 100위 안에 든 한국 작품의 절반 이상이 자체 오리지널 작품이었고 31%는 넷플릭스 독점이었으며, 그중 대다수를 한국의 콘텐츠 강자인 CJ ENM이 제공했다고 전했다.

한국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 점유율 2위 / 출처: 연합뉴스

넷플릭스는 한국 콘텐츠의 잠재력을 더욱 키우기 위해 2028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25억 달러(약 3조 5천708억 원)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한국 콘텐츠 붐을 유지하고 더욱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CJ ENM을 비롯한 한국의 콘텐츠 기업들도 글로벌 한류 현상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규모 투자와 해외 스튜디오들과의 협업을 통해 더 큰 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것이다.

암페어의 리서치 매니저 오리나 자오는 할리우드 매체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콘텐츠는 ‘오징어 게임’과 ‘킹덤’ 같은 히트작과 함께 지속적인 시청 시간을 끌어내며 넷플릭스의 세계적인 성공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한국
한국 콘텐츠 넷플릭스 점유율 2위 / 출처: 연합뉴스

이어 “넷플릭스는 오리지널 제작과 라이선스 콘텐츠를 포함한 고품질의 한국 작품에 계속해서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오늘날 K-POP, 한국 영화, 드라마, 음식 등으로 대표되는 한류(K-Culture)는 김구 선생이 꿈꿨던 문화강국의 모습과 맞닿아 있다.

한국의 문화산업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으며, 김구 선생의 소원이 점차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단순한 경제적 성과를 넘어 한국의 문화적 가치와 정신을 세계에 전파하고, 인류의 행복과 평화에 기여하는 문화강국의 비전이 21세기에 새롭게 빛나고 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