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없어 무너지겠다” 했는데 돌파구 찾은 中 자동차…한국까지 노린다

유럽 관세 피해
하이브리드차 전략 택한 중국…
한국 시장도 공략
중국산 하이브리드차 국내 투입
씰 U DM-i/출처-BYD

막다른 골목에 몰린 줄 알았던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새로운 활로를 찾아냈다. EU의 고율 관세 압박에 주저앉을 것이란 예상을 뒤엎고, 하이브리드차로 전환해 오히려 판매량을 3배나 늘린 것.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이제는 한국 시장마저 정조준하고 있다.

중국 완성차 업체들의 이 같은 전략 수정은 EU의 최대 45.3% 상계관세를 정면 돌파하는 동시에, 한국의 하이브리드 시장까지 공략하려는 ‘일석이조’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미 르노코리아와 KG모빌리티를 통해 한국 시장 진입의 교두보를 확보한 상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중국 업체들의 한국 시장 접근 방식이다. 정면 승부가 아닌 기술 제휴라는 우회 전략을 선택했지만,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본격적인 한국 시장 공략의 서막”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EU 관세 압박에 하이브리드로 전환

지난 10월부터 EU는 반(反)보조금 조사 결과에 따라 중국산 전기차(BEV)에 대해 5년간 최대 45.3%의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세가 하이브리드차에는 적용되지 않아, 중국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 수출 대신 하이브리드차로 초점을 전환하고 있다.

중국산 하이브리드차 국내 투입
하이브리드차/출처-연합뉴스

중국자동차연석회의(CPCA)에 따르면 올해 7∼10월 중국 브랜드의 대유럽 하이브리드차 수출량은 6만 58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기차 수출 비중은 62%에서 58%로 감소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국내 시장 겨냥한 중국산 기술

중국 하이브리드 기술이 국내 시장에도 스며들고 있다. 올해 9월 출시된 르노코리아의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는 중국 지리자동차와 프랑스 르노가 공동 설립한 호스파워트레인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했다.

또한 KG모빌리티는 BYD와 함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공동 개발 중이다. 이 파워트레인은 내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중형 SUV 토레스 하이브리드에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KG모빌리티는 최근 체리자동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플랫폼 라이선스 계약도 체결하며 협력의 폭을 넓히고 있다.

중국 하이브리드 기술 국내 시장 투입
2024 토레스 리미티드 블랙/출처-KG모빌리티

유럽·국내 동시에 노리는 BYD

중국 대표 전기차 업체인 BYD는 하이브리드 모델 씰 U DM-i를 통해 유럽 시장에서 폭스바겐 티구안, 토요타 C-HR PHEV와 경쟁을 벌이고 있다.

BYD는 기존 모델보다 가격 경쟁력을 내세워 유럽 내 입지를 강화하는 한편, 한국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업체들이 국내 자동차 기업들과 손잡고 기술을 공유하는 것은 한국 시장 직접 진출을 위한 사전 단계로 볼 수 있다”며 하이브리드차를 앞세운 중국의 공략이 본격화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중국 하이브리드 기술 국내 시장 투입
씰 U DM-i/출처-BYD

하이브리드 시장, 전략적 요충지로 부상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하이브리드차 중심으로 전략을 재편한 것은 관세 회피뿐 아니라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의 과도기적 시장을 노린 선택이다.

전문가들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등 점진적 전환 모델이 향후 유럽과 한국에서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하이브리드 기술 국내 시장 투입
BYD 신차 발표/출처-연합뉴스

자동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가 새로운 교두보로 떠오르면서, 중국 업체들이 이를 발판 삼아 글로벌 시장을 재편하려는 움직임은 갈수록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관심 집중 콘텐츠

폭스바겐 ID.7 주행거리

“941km나 달린다고?” 신형 전기 세단의 실주행 테스트 결과에 업계 ‘주목’

더보기
폭스바겐 아틀라스 가격

팰리세이드보다 더 큰 ‘대형 SUV’ “드디어 국내 상륙한다”… 가격이 무려

더보기
2025년 국내 출시 신차

불황 극복 어렵다 싶었는데 “이 車는 다르다”…승부수에 시장 ‘기대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