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었던 서울 아파트 마저…”이러다 사달 난다”..무서운 소식에 전국 ‘초비상’

전국 아파트,
입주율 낮아지는 가운데
서울 또한 전달 대비 하락세
영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8월 주택담보대출이 역대 최대 폭으로 상승해 8조 2천억을 기록한 가운데, 서울 아파트의 입주율 또한 전달 대비 낮아져 화제가 되고 있다.

올 9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2단계로 인하여, ‘영끌 막차’라는 생각으로 주택담보대출에 많은 수요가 몰렸다.

이는 2004년 통계 작성 이후로 최대 상승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택담보대출의 규모는 890조 6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8월 은행 가계 대출 규모는 1130조 원으로 역대 9번째로 큰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역대급으로 몰린 ‘영끌 수요’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시절 발생했던 전국적인 부동산 불장에 비하면 현재의 불씨는 미미하기만 하다.

입주 안해요

영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8월 전국의 아파트 입주율은 7월보다도 하락한 수치를 나타냈다.

입주율이란 조사 시점에 입주가 완료 됐어야할 아파트에서 이미 입주가 끝났거나 잔금 납부까지 완료된 주택 비중을 뜻한다.

통상 입주율이 낮을 경우, 어떠한 이유로 입주를 못했거나 잔금 납부를 완료하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영끌
아파트 / 출처 : 연합뉴스

7월 전국 평균 입주율은 68.8%를 기록하였으나 8월 전국 입주율은 65.3%에 불과했다.

인천과 경기권에서는 전월대비 0.2% 상승한 77.8%를 기록하였으나 서울은 전월 대비 0.5% 하락한 82.2%를 기록했다.

지방의 경우는 더욱 상황이 심각하다. 지방광역시는 3.4% 증가해 66.2%가 입주하였으나 그 외 지방은 9.5% 하락한 59.4%로 상황이 악화됐다.

지방의 경우는 미분양 물량 증가가 하나의 원인으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으며, 전국적으로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기존 주택 매각 지연’이 38.3%로 가장 큰 이유를 차지했다.

영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세입자 미확보 요인은 감소하였으나 대출 규제로 인하여 ‘잔금대출 미확보’와 ‘분양권 매도 지연 요인’이 증가한 것이다.

9월 아파트 입주 전망지수는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이 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주 전망지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사람이 잔금을 정상적으로 내고 입주할 수 있을지 예측하는 지표이다.

수도권 입주전망지수는 92.8로 전월 대비 6.7% 하락한 수치를 보여 전달보다 많은 이들이 제때 잔금을 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끌
아파트 / 출처 : 연합뉴스

7월과 8월 아파트 매매 신고가의 약 30% 가량이 서초구와 강남구에만 몰려 있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전국적인 부동산 불장 시기와는 다른 양상이 펼쳐질 수도 있다는 것이 일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주택담보대출 규제 시행이 2021년 패닉바잉(공황구매)를 억누르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세대 별로 현재의 집값에 대해 흥미로운 조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당분간 주택 구매 계획 없어요

신한은행은 지난 4월 17일에 ‘2024 보통 사람 금융생활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10월과 11월 경제활동자 1만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30 세대와 4050 세대의 집값 인식이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2030 세대의 경우, 2023년 집값을 고점이라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강했다.

영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반면에 40대 이상 세대에서는 집값을 고점이라고 인식하는 비율만큼 저점이라 인식하는 비율이 비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30 세대의 76.5%는 2년 후에나 집을 구매할 계획이라고 밝혀, 젊은 세대는 대부분 내 집 마련의 꿈을 2025년 이후부터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듯 2030이 내 집 장만을 미루고 있는 상황에서 9월 1일 발표된 한국부동산원의 자료에 따르면 거래량이 급증했던 7월에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40대가 33.2%로 가장 높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미루어볼 때 2021년처럼 전 세대적인 ‘패닉바잉’은 전국적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7

  1. 닭장?콘크리트상자?그값이라 생각하니 ㅋㅋ
    폭락오길기다리고 살지 ㅉㅉ ㅋ 시골에 있는 자이랑 강남에 있는 자이가 똑같은 성냥값인데 왜 가격자가 열밴소 넘게 나는지 모르지?

관심 집중 콘텐츠

GTX 개통

서울 가까워지자 “1억 넘게 올랐다”… ‘교통 혁신’에 부동산 시장까지 ‘후끈’

더보기
청년들 지방 산업도시 이탈 가속화

서울 안 부러웠는데 “여기서 일 못해요”…떠나는 사람들에 흔들리는 ‘이곳’

더보기
고용시장

“일할 곳이 없어요”…갈 곳 잃은 서민들 ‘막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