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초고층 빌딩 시대 개막…
글로벌 업무지구로 도약

서울 강남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테헤란로가 새로운 초고층 빌딩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
서울시는 강남역에서 포스코사거리에 이르는 테헤란로 일대의 용적률을 최대 1800%까지 허용하고, 건축물 높이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는 내용을 담은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확정했다.
서울시는 지난 12일 제4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테헤란로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
이번 결정으로 해당 지역의 용적률이 기존보다 대폭 상향 조정되며, 건물의 높이 제한도 사라졌다.

이에 따라 글로벌 프라임 오피스를 비롯해 다양한 초고층 건축물이 들어설 전망이다.
대상 지역은 강남역사거리에서 포스코사거리까지 이어지는 테헤란로변으로, 지하철 2호선, 신분당선, GTX-A·C 노선, 광역버스 등이 집중된 핵심 지역이다.
2009년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이후, 이 일대는 서울의 ‘도심’으로 격상되었으며, 글로벌 업무·상업 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서울시는 강남의 중심지 역할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이번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대규모 개발을 장려하고, 강남만의 특색을 살린 랜드마크 건축물 건립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 위한 도시 개발
이번 변경안의 핵심은 기존의 제한을 철폐하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건축 디자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특히 친환경 요소와 첨단 건축 기술을 적용할 경우 용적률을 최대 1800%까지 허용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강남을 글로벌 비즈니스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계획은 강남을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이지만, 초고층 건물의 난립으로 인한 부작용도 우려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용적률 상향과 높이 제한 철폐가 도시 경관을 해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정 지역에 개발이 집중되면서 균형 발전이 저해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용적률 상향으로 인한 토지 가치 상승이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강남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더욱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서울시는 이 같은 우려를 고려해 친환경 공간 조성과 보행환경 개선 등의 도시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을 병행할 계획이다.
특히, 보행 활성화를 위한 실내형 공개공지 조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친환경 건축물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도입해 도시의 매력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새로운 정부와 정부종합청사 그리고 한국은행과 서울대등을 지방으로 이전하여 말그대로 서울에서 꼭살고싶은 돈많은 졸부들만
살도록 정책을 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