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산업의 폭발 성장과
전력 인프라 교체 수요 급증
진출 기회 잡는 K-그리드 기업들

“미국 전력망이 한계에 다다랐다. 지금이야말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에서 전력망 노후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대규모 투자가 예고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11일 발표한 “미국 전력망 산업 동향 및 우리 기업 진출 전략” 보고서를 통해 미국 내 송전망과 배전망이 노후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 개보수 작업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송전선의 70%가 25년 이상 사용됐으며, 대형 변압기의 평균 사용 연수는 40년을 넘겼다.

노후화된 전력망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어렵게 만들고 있으며,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까지 겹치면서 전력망 개보수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에너지부는 전력망 안정성 강화를 위해 약 130억 달러 규모의 ‘전력망 복원력 혁신 프로그램(GRIP)’과 ‘송전 원활화 프로그램(TFP)’을 추진 중이다.
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도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가 예상된다.
K-그리드, 미국 시장 진출 가속화

이 같은 흐름 속에서 한국의 전력 기자재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의 변압기, 고압 전선, 케이블 등 전력 기자재 분야는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도 경쟁력이 높다”고 강조했다.
특히 AI 산업의 성장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서 안정적인 전력망 구축이 필수적인 과제가 되고 있다.
한국 정부도 K-그리드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전기협회는 “2025년도 K-그리드 해외전시·수출촉진회 지원사업”을 추진하며, 중소기업 100개 사를 대상으로 해외 전시 및 수출 촉진회 참가비를 지원한다.
한국 기업, 미국 진출 전략 마련 필요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보고서는 미국 전력 시장 구조를 분석하며, 비교적 규제가 적은 민간 부문에 집중할 것을 추천했다.

미국 전력 공급의 70%를 차지하는 민간 부문은 연방 정부의 ‘미국산 우선 정책’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의 진출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코트라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오는 3월 미국 최대 전력 송배전 산업 전시회인 ‘디스트리뷰테크 인터내셔널 2025’와 연계한 수출 상담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K-그리드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기회가 다가오고 있다.
앞으로 얼마나 많은 기업들이 이 기회를 잡고 글로벌 무대에서 영향력을 확장할지 주목된다.
광화문 거대자발적 지속적 애국열정 못봤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