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국 활용해 美 해군력 강화
한국 조선업에게는 기회

“이제 미국 해군 함정도 한국이 건조하는 시대가 오나?”
미국이 해군 함정을 동맹국에서 건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법안을 추진하면서 국내 조선업계가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다.
미국 공화당 소속 마이크 리, 존 커티스 상원의원은 최근 ‘해군 준비성 보장법’과 ‘해안 경비대 준비성 보장법’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미 해군과 해안 경비대의 함정 건조 및 수리를 동맹국 조선소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 발의의 배경에는 미 해군의 심각한 전력 부족이 있다. 현재 미 해군이 보유한 함정 수는 291척으로, 필요한 최소 함정 수로 제시된 355척에 한참 못 미친다.
기존 함정을 개조하는 데에는 신형 함정을 건조하는 것보다 26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미국 내 조선소들은 이미 풀가동 상태여서 추가 건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 조선소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번 법안이 통과될 경우, 한국 조선업계는 미국 해군 함정 건조 및 유지보수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가능성이 커진다.

한국 조선업은 세계 최강 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고부가가치 선박 및 군함 건조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 해군 함정을 한국 조선소에서 건조할 경우 비용 절감은 물론, 납기 단축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며 “법안이 통과되면 국내 조선업계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중 갈등 속 한국 조선업 부상
미국이 동맹국 조선업을 활용하려는 또 다른 이유는 미중 갈등이다.

중국은 강력한 조선 능력을 바탕으로 해군력을 빠르게 증강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함정 건조 속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미 국방부는 중국 국영 조선업체 CSSC를 블랙리스트에 올리면서 중국산 함정을 도입하는 것을 배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 조선소가 미국의 해군력 증강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번 법안이 실제로 통과될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함정 건조 비용 절감과 전력 증강을 위해 동맹국 조선소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한국 조선업계는 미 해군과 해안 경비대 함정 건조 및 유지보수 사업 진출을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만약 법안이 통과된다면, 국내 조선사들은 대규모 신규 발주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전망이다.
한국 조선업이 미 해군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돈되는거는 다훔쳐가는게 산업스파이인데 한국 조선소 믿을 수 있나. 지금의 중국 조선도 한국 산업스파이들이 다 빼돌려 만든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