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 1억 넣으면 1년 뒤 4600만 원 받는다?”…이 나라에 무슨 일이

튀르키예 중앙은행, 금리 인상 단행
연 46% 초고금리로 경제 위기 대응
경제 정책 실패로 물가 통제불능
튀르키예
튀르키예 금리 인상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자가 물가를 낮추기는커녕 오히려 물가를 더 높인다.” 경제학 교과서를 정면으로 부정한 한 국가 지도자의 주장이 결국 나라 경제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었다.

튀르키예 중앙은행이 지난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46%로 전격 인상했다. 이는 한국은행 기준금리(3.5%)의 13배가 넘는 초고금리다.

가령 이 나라 은행에 1억 원을 예금하면 1년 후 4600만 원의 이자를 받는 셈이다. 이례적인 금리 인상에 전 세계 경제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인플레이션과의 사투, 금리인상으로 다시 전환

튀르키예
튀르키예 금리 인상 / 출처: 연합뉴스

튀르키예 중앙은행은 통화정책위원회에서 기준금리인 1주일 환매조건부채권(레포) 금리를 42.5%에서 46.0%로 3.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을 깬 전격적인 조치다. 튀르키예는 지난해 12월부터 세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으나, 이번에 갑자기 인상으로 정책을 바꾼 것이다.

통화정책위원회는 성명에서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꺾였고 내수가 예상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보호무역주의가 심화할 경우 세계 경제 활동, 원자재 가격, 자본 흐름 등이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튀르키예
튀르키예 금리 인상 / 출처: 연합뉴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으로 인한 세계 경제 변동성 증가를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금리 인상에 대해 “미국발 상호관세 여파와 더불어 최근 튀르키예 국내 정치 불안으로 리라화 가치가 폭락하자 투자자를 안심시키려는 조치”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달 튀르키예 당국이 야당의 유력 대권주자인 에크렘 이마모을루 이스탄불시장을 부패·테러 혐의로 전격 체포하면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다.

에르도안의 ‘역설적’ 경제 정책, 튀르키예를 벼랑 끝으로

튀르키예
튀르키예 금리 인상 / 출처: 연합뉴스

튀르키예 경제 위기의 중심에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비정상적인 경제 정책이 있다.

에르도안은 “물가 상승은 고금리가 원인”이라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와 정반대되는 주장을 고수해 왔다. 심각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도 저금리 정책을 강행하며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훼손한 것이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튀르키예 리라화 가치는 지난 10년간 10배 이상 하락했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외화보유고가 빠르게 고갈됐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급등하고, 이는 다시 물가상승률을 자극하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전문가들은 튀르키예 경제 위기의 원인으로 에르도안 대통령의 권력 집중도 지적한다.

튀르키예
튀르키예 금리 인상 / 출처: 연합뉴스

2016년 쿠데타 시도 실패 이후 에르도안의 권력이 더욱 강화되면서 경제정책에도 정치적 목적이 우선시됐다.

정적 탄압 등 정치적 불안이 외국인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고, 경제 정상화 노력이 번번이 좌절됐다는 것이다.

구조적 취약성과 외부 요인의 복합적 영향

튀르키예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도 위기를 심화시켰다. 저축률이 낮고, 생산성 높은 분야로의 자본 투입이 부족한 상황에서 부동산 등 비생산적 분야로 자금이 몰렸다.

튀르키예
튀르키예 금리 인상 / 출처: 연합뉴스

외채에 의존한 경제 운용은 환율 급등 시 외채 상환 부담을 크게 증가시켰다. 여기에 미국 등 서방과의 외교적 갈등, 제재 등이 리라화 폭락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글로벌 불확실성도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결국 튀르키예 경제 위기는 정부의 비정상적 통화정책,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 만성적 인플레이션과 환율 폭락, 구조적 취약성, 그리고 외교적 갈등 등 복합적 요인이 맞물려 발생했다.

특히 에르도안 대통령의 장기 집권과 권력 집중이 경제정책의 합리성을 훼손하면서 시장 신뢰가 무너진 것이 결정적이었다는 평가다.

튀르키예
튀르키예 금리 인상 / 출처: 연합뉴스

이번 금리 인상은 튀르키예가 경제 정상화를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오랜 기간 쌓인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초고금리 정책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중앙은행의 독립성 회복과 함께 정치적 안정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7

  1. 에르도안이 머리가 좋네.
    다시말해 행정부 즉 금융위와 머리를 맞대결 앞으로의 미래를 구상했다는 점이다.
    목적이 분명한 튀르쿠예의 기획이다.

  2. 우린 국개가 문제지
    근데도 내각제하겠다는 이 넘들은 돌대가리들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