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보다 심각하다더니 “엄마, 이번에도 어려울 것 같아”… 갈 곳 잃은 청년들 ‘어쩌나’

취업시장 빙하기 장기화
채용공고 반토막 추세 지속
청년들 좌절감 갈수록 깊어져
채용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급감 / 출처: 뉴스1

“요즘 하루 종일 인터넷을 뒤져봐도 채용 공고 자체가 없어요.”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이 코로나19 시기보다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신규 채용을 축소하고, 청년들은 첫 직장을 구하지 못해 방황하고 있다. 내수 침체와 수출 둔화가 겹친 한국 경제의 현실이 청년층 취업난으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보다 더 추운 겨울’… 채용 시장 얼어붙다

15일 통계청 ‘빅데이터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지난달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수는 2020년 1월 대비 57.9% 감소했다.

채용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급감 / 출처: 뉴스1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시기보다 더 심각한 수준으로, 통계청이 해당 지표를 제공하기 시작한 2020년 이후 역대 최악에 가까운 수치다.

채용 한파는 지난해 9월을 기점으로 본격화됐다. 10월에는 2020년 1월 대비 약 40% 감소했으며, 올해 2월 초에는 69.7%까지 급감하며 역대 최고 감소율을 기록했다.

3월부터 상반기 채용 시즌이 시작되면서 감소세가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코로나 대유행 시기를 뛰어넘는 채용 가뭄이 지속되고 있다.

업종별로는 사업 지원 서비스업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지난달 29일 기준 해당 업종 채용 모집 인원은 2020년 1월 대비 89.4% 급감했다.

채용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급감 / 출처: 뉴스1

교육 서비스(-49.8%), 식료품 및 의류(-35.3%), 오락 스포츠 및 문화(-32.5%)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특히 그동안 비교적 안정적인 채용을 유지해왔던 제조업마저 20.3% 감소한 것은 내수뿐 아니라 수출 전반에 걸친 경기 침체를 보여주는 심각한 신호로 해석된다.

‘경력 없는 청년’ 설 자리 없어… 취업 문턱에서 좌절

이러한 고용 한파는 특히 경력이 짧은 사회초년생들에게 더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채용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급감 / 출처: 뉴스1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25~29세 취업자 수는 242만 명으로, 1년 전보다 9만 8000명 감소했다. 이는 2013년 3분기(-10.3만 명)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20대 후반 취업자는 2023년 1분기 이후 9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그 폭도 점점 커지고 있다.

지난해 3분기 4만 4000명, 4분기 6만 2000명 감소에서 올해 1분기에는 10만 명에 육박하는 감소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인구 감소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분석한다.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인구는 6만 9000명 감소했지만, 취업자 수는 이보다 훨씬 많은 9만 8000명 줄었다. 실업자 수는 1만 3000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0.6%포인트 상승했다.

채용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급감 / 출처: 뉴스1

기업들의 ‘신중한’ 채용… 경력직 선호 뚜렷

채용 한파의 한 원인으로는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지목된다.

한국은행 연구팀은 지난 2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경력직 채용 증가는 기업의 경쟁력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노동시장에 갓 진입한 청년들의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내수 장기 침체와 수출 둔화가 겹친 복합 악재가 있다.

채용
온라인 채용 모집 인원 급감 / 출처: 뉴스1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국내 정치적 상황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더해지면서 기업들의 고용 심리가 급속도로 얼어붙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신규 채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지난해(66.8%)보다 6%포인트 줄어든 60.8%에 그쳤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내수 부진 심화와 미국발 관세 전쟁 우려 등으로 기업 심리가 위축됐다”며 “올해 채용 시장은 작년보다 더 얼어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인구 감소 외에도 기업의 경력직 선호가 맞물리면서 청년들이 취업시장에 진입조차 못하고 있다”며 “20대에 첫 직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구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