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넘어섰다 “결국은 삼성마저”… 심상치 않은 상황에 ‘술렁’

삼성전자도 피해가지 못한
저출생과 고령화 현상의 문제점
삼성
삼성전자의 고령화 현상 / 출처 : 연합뉴스

“요즘 확실히 젊은 20대 회사원들을 많이 못 본 것 같기는 해”, “아무래도 시간이 지날수록 나이 든 사람들이 많아질 수밖에”

‘젊은 피’ 20대 직원들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는 지금, 삼성전자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26일, 한국CXO 연구소에서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약 14년 간 삼성전자에서 글로벌 인력이 어떻게 변동했는지 분석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삼성전자에서도 40대 이상 직원은 늘어나는 동안 20대 직원은 줄어들고 있었다.

삼성
삼성전자의 고령화 현상 / 출처 : 연합뉴스

2010년 당시만 하더라도 삼성전자에 가장 많은 인력은 20대 ‘젊은 피’였다. 삼성전자 직원의 절반 가량이 29세 이하였을 정도다.

이어 30대가 30%를 차지하면서, 사실상 10명 중 9명 꼴로 2030 세대였다는 뜻이다.

그러나 20대 직원이 60%에 육박하며 정점을 찍었던 2015년 이후, 젊은 직원들은 가파르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2017년 53.6%에서 4년 만에 20% 포인트 가량 줄어든 33.7%를 기록했던 20대 직원 비중은 지난 2023년, 27.1%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

삼성
삼성전자의 고령화 현상 / 출처 : 연합뉴스

이렇게 20대 인력이 줄어드는 동안, 30대와 40대 이상의 직원들은 늘어나면서 지난해 처음으로 40대 이상 직원 수가 20대 직원 수를 앞지르기도 했다.

2010년 2만 명 수준이었던 40대 이상 직원은 2018년 5만 명을 돌파했으며, 지난 2023년에는 무려 8만 명으로 늘어나면서 전체 비중의 30%를 차지했다.

10년 이내로 현장에도 영향을 미칠 저출생과 고령화

이렇게 고연차 직원이 늘어나다 보니 인건비도 자연스럽게 증가할 수밖에 없다.

삼성
삼성전자의 고령화 현상 / 출처 : 연합뉴스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 삼성전자 직원 수는 2010년 19만여 명에서 지난해 26만 명을 기록하며 약 7만 명가량 증가했지만, 인건비는 무려 3배나 늘어났다.

일각에서는 급속한 저출생 및 고령화 현상으로 인한 결과가 단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라면서 우려가 제기되었다.

한 통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향후 11년 이내로 인력 부족, 내수기반 붕괴 등의 경제 위기를 겪을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저출생과 고령화가 기업에 미칠 영향 중 가장 큰 부분은 역시 ‘인력 수급’이다. 빠르면 9년 이내로 산업현장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 또한 있다.

삼성
삼성전자의 고령화 현상 / 출처 :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급속한 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고령층 취업 기회를 확대하는 등, 고령인력 활용을 위한 환경 조성을 강조했다.

한 전문가는 원활한 세대 교체를 위해서는 젊은 인력을 뽑는 것도 필수적이라고 설명하며 20~30대 인력들을 채용하기 위한 환경 조성 또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52

  1. 삼성 못잡아 먹어 안달났던 시민단체 및 정치 쓰레기들 이제 어떤기업 죽이려고 계획세우고 있나! 기술유출한 매국놈들 과 열심히 논의하고 있나! 요즘 한국 무기 식품 수출도 이들의 목표 아니것나 싶다.

관심 집중 콘텐츠

GTX 개통

서울 가까워지자 “1억 넘게 올랐다”… ‘교통 혁신’에 부동산 시장까지 ‘후끈’

더보기
청년들 지방 산업도시 이탈 가속화

서울 안 부러웠는데 “여기서 일 못해요”…떠나는 사람들에 흔들리는 ‘이곳’

더보기
고용시장

“일할 곳이 없어요”…갈 곳 잃은 서민들 ‘막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