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도시에 한국 기술 빛나다
스마트 교통 마스터플랜 완성
물류센터 투자로 재건사업 확대

전쟁의 아픔을 겪은 도시를 한국의 첨단 기술로 되살린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러시아와의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의 교통 시스템이 한국의 스마트 기술을 입고 새롭게 태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한국형 스마트 교통 솔루션, 유럽까지 진출
국토교통부는 지난 3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키이우 지역 교통 마스터플랜’ 수립 사업 최종보고회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6일 발표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는 이번 마스터플랜에서 전쟁으로 파괴된 키이우 지역의 교통 시설을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시스템으로 재건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범유럽 교통망 구축 사업과 연계한 스마트 모빌리티 전략을 제안해 현지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보고회에 참석한 우크라이나 공동체영토개발부의 마리나 데니시우크 차관은 “한국 정부와 기업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며 “관련 기관과 세밀하게 검토한 후 올해부터 본 사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마스터플랜은 2023년 9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합동 재건협력 대표단이 발표한 ‘6대 선도 프로젝트’ 중 대표 사업이다.

당시 한국 대표단은 우크라이나를 방문하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을 만나 23억 달러 규모의 우크라이나 지원 계획을 논의했으며, 키이우 교통 재건을 비롯해 우만시 스마트시티,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 부차시 하수처리시설, 카호우카 댐 재건, 철도 노선 고속화 등의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르비우 물류센터 투자로 재건 사업 확대
한국의 우크라이나 지원은 교통 재건 마스터플랜을 넘어 실질적인 투자로 이어질 전망이다.
최근 KIND가 국내 중견 물류기업과 함께 우크라이나 르비우 지역 M10 산업단지 내 물류센터에 지분 투자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르비우시는 폴란드 국경에서 약 60km 떨어진 우크라이나 서부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전쟁의 피해가 적은 곳이다.
유럽연합(EU)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서 향후 우크라이나 재건 과정에서 중요한 산업 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KIND 관계자는 “현재는 실사를 진행 중”이라며 “국내 물류업체와 함께 지분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종전 가능성이 커지면서 이번 투자가 실현될 경우, 종전 후 이루어지는 국내 첫 투자 사례가 될 전망이다.

한국 정부는 마스터플랜에서 도출된 과제들의 사업화 방안을 우크라이나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국내 기업들이 재건 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전쟁의 상처를 딛고 일어서는 우크라이나에 한국의 기술과 경험이 새로운 희망의 씨앗이 되고 있다.
원희룡?
윤거지 떨거지 아녀?
우크라이나 재건?
뭘 갖고 재건 한다생각하는지
우크라이나 20-50대 대부분
전쟁으로 중경상 나머진 해외
거주 중 그사람들 조국으로
귀국할까?
3조이상 지원 하고 3조 수주하면
참좋아요 참잘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