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으로 글로벌 시장 휩쓸다”
세계가 주목하는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의 4분기 실적 발표는 기존 삼성전자를 압도하며 분기 기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인공지능(AI)과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HBM 시장이 급성장하며, SK하이닉스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SK하이닉스의 성공은 단순한 실적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특히 HBM3E 제품의 생산과 판매가 급증하며 회사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HBM은 여러 장의 D램을 쌓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로, 일반 D램보다 5배가량 비싼 고부가가치 제품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HBM 매출은 올해 전년 대비 두 배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6세대 HBM(HBM4) 출시가 예정돼 있다. HBM4는 성능과 적층 수준에서 기존 제품을 뛰어넘는 혁신을 예고하며, SK하이닉스의 시장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기술력으로 앞서나가는 SK하이닉스의 ‘비장의 무기’
SK하이닉스는 HBM뿐 아니라 D램 분야에서도 기술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개발한 10나노급 6세대 D램은 이미 초기 양산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경쟁사들이 아직 양산 승인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 SK하이닉스는 이 기술을 올해 하반기 양산 단계로 끌어 올릴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충북 청주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한 대규모 설비 투자를 통해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있다.
이 같은 설비 확장은 단기적인 실적 향상뿐 아니라 장기적인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SK하이닉스는 범용 D램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초고성능 메모리 제품에 집중해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PC와 스마트폰 등 범용 제품 시장이 정체되고 있는 반면, AI 서버와 데이터센터용 메모리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범용 D램의 생산을 줄이고, HBM 및 DDR5 같은 고성능 메모리에 집중하는 전략을 세웠다.
이와 함께 메모리 시장에서 나타나는 ‘디커플링’ 현상, 즉 고성능 제품과 범용 제품 간의 양극화에도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HBM 매출 증가뿐 아니라 2027년까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장기적인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공지능 시대가 열리며 데이터센터와 AI 칩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SK하이닉스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치를 더욱 강화할 준비를 마쳤다는 평가다,
대단하네 요
한국 경재를 살렸다
올해 무긍한 발전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