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그래도 힘들었는데”… 드디어 전해진 반가운 소식에 주부들 ‘활짝’

봄배추와 대파 생산량 늘어
사과·참외 등 과일도 가격 하락
겨울무는 여전히 높은 가격 유지
주부
농산물 값 인하 / 출처 : 연합뉴스

“요즘 마트 갈 때마다 장 보는 게 무섭다”는 말이 무색해질지도 모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6일 발표한 ‘농업관측 5월호’에 따르면 이달 주요 농산물 가격이 전년보다 확연히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장바구니 부담이 다소나마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저장물량 늘고 봄채소 출하 확대

올해 배추 도매가는 10㎏당 7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31.5%나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 평균 가격보다도 23.6% 낮은 수준이다.

주부
농산물 값 인하 / 출처 : 뉴스1

가격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저장 배추와 봄배추 출하량의 증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저장 배추 출하량이 전년보다 39.9%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시설재배 봄배추와 노지 봄배추의 출하량도 각각 12.3%, 14.9%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파 역시 공급량 증가로 가격이 하락세를 보일 전망이다. 1㎏당 도매가는 1100원으로 전년 대비 41.9%, 평년 대비 36.9% 저렴해질 것으로 예상됐다.

당근은 20㎏당 3만 1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1%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주부
농산물 값 인하 / 출처 : 연합뉴스

이처럼 채소 전반에서 하락세가 감지되면서, 겨울철 폭등했던 채소값에 지친 소비자들에게는 한숨 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과일도 가격 안정세… 사과·배는 전년 대비 큰 폭 하락

과일류 역시 공급이 안정되며 가격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 사과(부사)는 10㎏에 6만 5천 원으로 작년보다 18.3% 내릴 전망이며, 배(신고)는 15㎏당 7만 원으로 41.6%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수박과 참외도 제철을 맞아 가격이 소폭 하락했다. 수박은 1㎏당 2600원으로 지난해보다 14.3% 내리고, 참외는 10㎏당 4만 원으로 3.2% 저렴해질 것으로 예측됐다.

주부
농산물 값 인하 / 출처 : 연합뉴스

다만 평년과 비교하면 일부 품목은 여전히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사과는 평년보다 64.5% 비싸고, 배도 23.2% 높은 수준이다.

모든 품목이 안정세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무는 겨울 작황 부진 여파로 여전히 높은 가격을 유지 중이다. 도매가격은 20㎏당 2만 5천 원으로 1년 전보다 50.9%, 평년보다도 94% 이상 비싼 수준이다.

농경연은 이달 중순부터 봄 무 출하가 본격화되면 가격이 점차 하향 안정될 것이라며, 생산량 회복에 따라 순차적인 가격 조정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역시 수급 안정에 힘을 보태고 있다. 설 전후 한파와 폭설에 대비해 배추·무 등을 포함한 주요 채소류 출하 조절 및 할당관세 기간 연장을 검토하고 있으며, 지역 농가와의 계약재배 확대를 통해 공급 불안을 해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

  1. 사과 값이 내린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하세요.
    품질 떨어진거 생각안하고 4개월뒤에 햇사과 나오면 어떡할려고 쉽게 기사쓰시네

  2. 사과값 내리긴 뭘내려 산지 공판장 가락시장 전화 한번이라도 해보고 기사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