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이후 급등한 시장
거래대금도 주식 시장 추월
우호적 정책 기대에 ‘가상자산 붐’

“비트코인, 이더리움… 다 좋다. 나는 이들을 사랑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한마디는 침체됐던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불을 붙이기에 충분했다.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의 시가총액은 사상 처음으로 100조 원을 넘어섰고, 거래 대금은 유가증권·코스닥을 합친 규모를 앞질렀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 지급결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업비트·빗썸·코인원 등 국내 5대 거래소의 가상자산 보유 금액은 104조 1000억 원에 달했다.

불과 두 달 전인 10월 말 58조 원이었던 수치가 2.2배 급증한 것이다.
가상자산 하루 거래 대금, 주식 시장 추월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 우호 기조가 본격화된 시점은 지난해 11월 대선 직후였다. 그가 “미국을 전 세계 가상자산의 수도로 만들겠다”고 선언한 이후 투자자들의 기대감은 일제히 반등했다.
특히 가상자산을 전략적으로 비축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투자 심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 여파로 지난해 12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의 하루 평균 거래 대금은 17조 2000억 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기 국내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시장의 일평균 거래 대금은 15조 3000억 원 수준이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주식시장이 2298조 원, 가상자산 시장이 100조 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회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규제 불확실성 해소와 제도 논의 본격화
시장 과열 양상 속에서도 한국은행은 단순한 투기적 움직임만은 아니라고 분석했다.

미국과 홍콩에서의 가상자산 ETF 승인, 유럽연합의 MiCA(암호자산 규제법) 시행 등 제도 기반이 정비되며 ‘규제 리스크’가 해소된 점이 함께 작용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변화가 감지된다. 지난해 11월 출범한 가상자산위원회는 스테이블 코인 규제 체계 마련과 법인의 시장 참여 확대를 주제로 입법을 논의 중이다.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2단계 마련도 검토되고 있다.
다만, 시장이 기대하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지속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최근 고강도 관세 조치와 같은 강경한 통상 정책이 다시 부각되면서 가상자산 시장도 다시금 흔들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상자산 시장이 단순한 반등을 넘어 제도적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활용도와 건전한 거래 환경 구축이 필수라고 강조한다.

트럼프 정부의 행보가 단기적 시장 반응을 넘어서 제도와 실물경제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해킹당하는 가상자산 누가 사나요?????
실물경제와 상관도 없고, 근거도 없는 가상자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