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강남·용산…실거래가 평균 20억원↑
자산·소득 격차가 부른 지역 양극화

지난해 서울의 아파트 시장은 ‘양극화’라는 단어로 설명할 수 있다. 강남권에서는 30억 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가 급증한 반면, 외곽 지역에서는 여전히 5억 원대 아파트가 거래되고 있다.
서초구와 도봉구의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 차이는 무려 5배. 이 같은 현상은 단순한 가격 격차가 아니라, 서울 내 부동산 시장이 확연히 다른 두 개의 세계로 나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강남·서초는 오르고, 강북은 제자리…가격 격차 더 벌어져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초구에 이어 강남구가 24억 8천300만원으로 2위를 기록했고, 용산구가 22억 5천70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들 3개 구의 평균 실거래가는 모두 20억원을 웃돌았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러한 고가 거래의 증가세다.
지난해 서울에서 이뤄진 30억원 이상 아파트 거래는 총 2,305건으로, 2023년 875건 대비 2.6배나 증가했다.
이 중 강남구와 서초구의 거래가 전체의 76.4%를 차지했다. 100억원이 넘는 초고가 아파트 거래도 22건이나 발생했는데, 이는 전년도 5건에 비해 4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특히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에서는 전용면적 273.4㎡ 아파트가 220억원에 거래되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같은 단지에서 200억원 거래도 성사되어 ‘200억원 아파트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이러한 현상은 부동산을 단순한 투자 수단이 아닌 ‘저장 자산’으로 보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서울 시내 다른 지역의 상황은 매우 다르다. 도봉구를 비롯해 강북구(6억700만원), 노원구(6억1천만원), 금천구(6억2천100만원) 등 12개 구의 평균 실거래가는 10억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같은 서울 안에서도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주목할 만한 또 다른 변화는 9억원 초과 거래의 비중이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거래 중 9억원을 초과하는 거래가 전체의 53.8%를 차지했다.
이는 2006년 실거래가 신고 의무화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선 수치다. 반면 2018년 60.9%에 달하던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지난해 20.7%까지 떨어졌다.
KB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지난해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고, 강남 불패 심리가 작동하면서 강남권과 용산 아파트 가격은 상대적으로 덜 빠졌다”며 말했다.
또한 “자산과 소득 양극화와 지역 양극화를 유발하고 있다”며 “코인, 해외주식 등 글로벌 금융자산이 유입된 측면도 있을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지적했다.

이러한 양극화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신생아 특례대출 등을 통해 9억원 이하 주택 구입을 지원하고 있지만, 고가 주택 선호 현상은 오히려 강화되는 모습이다.
특히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인해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 지역의 수요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는 단순한 자산 가치의 차이를 넘어 사회적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향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이러한 양극화 현상을 어떻게 다룰 것인지 주목된다.
정부가 일부러 그러고 있는건데..똘똘한 한채로 지방과 강북을 일부러 죽이고 있는 듯 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