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떠나고 지원자도 줄고…
‘지방 이전’이 불러온 공공기관의 위기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방으로 발령받을 바에 그냥 일 관둡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게시되었다.
게시글의 작성자인 A 씨는 “지방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것도, 아무것도 없는 것도 싫다”라고 말하면서 “그냥 못 산다”라고 강조했다.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던 점은 A 씨의 말에 공감하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었다.
A 씨의 글에 댓글을 단 B 씨는 “서울 살다가 인천만 가도 힘들 때가 있다”라고 말했으며, C 씨는 “직장이 한두 곳도 아닌데 그냥 관두고 만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처럼 지방을 기피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공공 금융기관들이 인력난과 인기 하락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지방 이전이 가져온 구조적 문제, 괜찮을까?
국민연금 기금운용직의 채용 경쟁률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국책은행의 신입직원 채용 경쟁률은 5년 새 절반으로 감소했다.
국민연금의 기금운용직 채용 경쟁률은 올해 3.47대 1로, 설립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때 세계적인 연기금에서 일한다는 자부심과 안정성을 이유로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전주 이전 이후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다.
특히 올해 2차 채용에서는 일부 직무에 지원자가 없어 채용 예정 인원의 절반만 선발됐다.
국민연금은 해외 연수와 성과급 개선 등으로 인력 유출을 막으려 했지만, 전주 근무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의 상황도 다르지 않다. 올해 신입 직원 채용 경쟁률은 평균 41.7대 1로, 5년 전(75.2대 1) 대비 절반 가까이 하락했다.
2020년 윤석열 대통령의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공약 이후 채용 경쟁률은 급락했다. 기업은행과 수출입은행도 대전·대구, 강원·부산 등 지방 이전 가능성으로 인해 취업 매력도가 하락했다.
특히 MZ세대 구직자들은 지방 근무를 꺼리는 경향이 강하다.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청년의 72.8%가 지방 근무를 기피한다고 답했다.
공공 금융기관의 연봉 경쟁력도 민간 은행에 뒤처지면서 인력 유입을 어렵게 하고 있다.
지난해 국책은행 직원 평균 연봉은 시중은행보다 600만 원 적었고, 최근 4년간 연봉 인상률은 민간은행(5.0%) 대비 현저히 낮은 1.0%에 그쳤다.
인력난은 기관의 장기적 수익률에 악영향을 미쳐 국민연금의 연금 개혁과 공공 금융기관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지방 이전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인재 유출과 수급 문제는 지속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지방시대의 번영과 균형발전을 위해선 정치적 차원을 떠나서 고려해 봄직하다!!!
쵯 씨들시나 내쫓아라좃폭쓋씨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