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한국 철강,
새로운 기회로 바꾼다
“우리가 살아남지 못하면 철강 산업의 미래는 없습니다.”
한국 철강업계가 세계 시장에서 연이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지난 2023년, 미국 상무부는 “한국 전기 요금이 특정 기업에 보조금을 제공한다”며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의 수출품에 상계관세를 부과했다.
여기서 상계관세란 특정 국가의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여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부당하게 높인 경우, 이를 상쇄하기 위해 수입국이 부과하는 관세를 말한다.
중국산 철강의 강력한 저가 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K-철강에 주어진 상계관세는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2023년 기준, 중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온 철강 수입량은 전년 대비 80% 이상 증가했다.
저렴한 가격 탓에 국내 수요가 몰렸고, 이는 국내 철강업계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위기 속에서 길을 찾는 K-철강
그러나 업계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며 미래를 위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은 해당 조치의 정당성을 재검토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한국 정부와 기업이 제기한 소송에서 “전기 사용량만으로 특정성을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논리가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이번 판정은 다른 무역 분쟁에서도 중요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대응 논리를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중국산 철강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 역시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은 생산 조정을 통해 품질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정부는 ‘잠정 덤핑방지 관세’를 추진 중이다.
‘잠정 덤핑방지 관세’란 수입품이 비정상적으로 저렴하게 팔려 국내 산업에 피해를 주는지 판단하는 과정 중 피해 방지를 위해 최종 결론 전 임시로 부과하는 관세를 의미한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이에 대해 “국내 수요를 지키는 동시에, 아시아와 유럽 시장을 공략하는 전략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편, 철강업계는 친환경 기술 도입으로 글로벌 탈탄소 규제에 선제 대응하고 있다. 포스코는 수소를 활용한 철강 생산 기술을 연구 중이며, 2030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조선업계와 협력도 주목할 만하다. 대한조선은 암모니아 연료를 활용한 친환경 선박 설계로 국제 인증을 받았고, HMM은 선박 탄소포집 기술을 선보였다.
이러한 협업은 철강업계의 경쟁력 강화와 새로운 시장 창출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
오랜만에 들어보는 좋은소식이네요 항상 정부관련부처와 산업계가 똘똘뭉쳐 대한민국의 저력을닷한번 발휘해주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