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월세 비중 60% 넘어
4년 만에 20%p 급등
지방 빌라 82% 월세 전환

“매달 나가는 월세에 저축은 꿈도 꿀 수 없어요.” 전세가 사라지고 월세가 급증하는 부동산 시장에서 서민들의 주거 부담이 커지고 있다.
월세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60%를 넘어서면서 임대시장의 지형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전세에서 월세로 급격한 전환
국토교통부가 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61.4%로 집계됐다.

이는 임대차 시장의 중대한 변화를 보여주는 수치다. 2021년만 해도 41.7%였던 월세 비중은 불과 4년 만에 20%포인트 가까이 급증했다.
2022년 47.1%, 2023년 55.2%, 지난해 57.5%로 꾸준히 증가하다 올해 처음으로 60%를 넘어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특히 지방의 월세화가 수도권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수도권의 월세 비중은 60.2%로 1년 새 3.1%포인트 증가한 반면, 지방은 63.5%로 5.4%포인트나 늘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보다 ‘빌라’로 대표되는 비아파트의 월세화가 두드러진다.
전국 아파트 월세 비중은 44.2%인 반면, 비아파트는 76.3%에 달한다. 눈여겨볼 점은 지방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82.9%로, 사실상 10명 중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세사기와 금리 인하가 월세화 가속
이처럼 전세에서 월세로의 급격한 전환이 일어나는 데는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난 2년간 전세사기 공포와 지방 부동산 침체가 월세화를 가속화한 주요 요인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값이 오르지 않자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월세로 전환하는 임대인이 늘었다.
여기에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지면서 임대인의 월세 선호 현상은 더욱 강해졌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금리 인하 기조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임대인들이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이 가능할 만큼 전가세율을 낮추고, 나머지는 월세로 전환하며 월세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 나아가 그는 “경기 둔화로 금리가 낮아질수록 월세화 흐름은 더욱 강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전월세전환율 상승, 세입자 부담 가중
월세 비중이 늘어나는 가운데, 전세에서 월세로 바꿀 때 적용하는 전월세전환율까지 꾸준히 상승하면서 세입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 주택 전월세전환율은 2022년 1월 4.7%에서 올해 1월 5.3%로 0.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월세 전환 시 세입자가 부담해야 할 임차료가 더 커졌음을 의미하며, 현재 수도권 전월세전환율은 5.9%, 지방은 더 높은 6.9%에 달한다.

정부는 세입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전환율 법정 상한선을 정해 발표하고 있지만, 법적 강제성이 없어 시장에서는 잘 지켜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서민들에게 더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전세사기 우려와 침체된 지방 부동산 시장 상황이 맞물리면서 임대인들은 안정적인 월세 수익을 선호하게 되었고, 그 결과 세입자들은 더 높은 주거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특히 서민들이 주로 거주하는 비아파트 시장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주거 약자들의 경제적 부담은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금리 인하 기조가 유지되는 한, 월세화 추세와 함께 서민들의 주거 부담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참좋은 나라 입니다 국민 무덤
사기꾼이 잘사는나라..서민은 죽어가고 중국인이 잘사는나라
임대차3법이문제야 전세든 월세든 시장의 흐름대로두면될것을,~~
더불당 간첩들이 만든 현상.원씨 잘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