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인도에 세 번째 공장 착공
프리미엄 가전 수요 노려 생산 확대
중동·남아시아 수출기지로도 육성 계획

“한국 기업이 인도에 이렇게 큰 공장을 짓는다고?”
8일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에서는 LG전자의 새로운 도전이 시작됐다. 기존 노이다와 푸네 공장에 이어 인도 내 세 번째 대형 가전공장 건설이 본격화된 것이다.
세계 1위 인구 대국으로 올라선 인도를 겨냥해, LG전자가 약 8400억 원을 투자하며 미래 성장 거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 전역을 아우를 세 번째 거점

이번에 착공에 들어간 스리시티 공장은 총 부지 100만㎡, 연면적 22만㎡ 규모다. 이 공장에서 연간 생산 가능한 물량은 냉장고 80만 대, 세탁기 85만 대, 에어컨 150만 대, 에어컨용 컴프레서 200만 대 수준이다.
본격 가동은 2026년 말 에어컨 초도 생산으로 시작되며, 2029년까지 주요 가전 생산 라인을 순차적으로 갖출 예정이다.
LG전자가 이처럼 대규모 설비 확충에 나선 배경에는 ‘성장 잠재력’이라는 확신이 있다.
인도는 이미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나라가 되었고, 경제 성장률도 글로벌 평균의 두 배를 웃돌고 있다.

그에 비해 세탁기(30%)와 에어컨(10%) 보급률은 여전히 낮아, 시장 확대 여지가 크다는 점에서 이번 투자는 장기적인 전략의 일환이다.
스리시티 공장의 또 다른 전략적 의미는 ‘수출 기지’다. 공장은 인도 남동부 첸나이 인근에 위치해 인도양과 가까워 물류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이에 따라 LG전자는 중동,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 인접 국가로의 공급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민 브랜드’ 노리는 현지화 전략

1997년 인도에 첫발을 디딘 LG전자는 현지화 전략을 기반으로 꾸준히 입지를 넓혀왔다. 현지 식생활에 맞춘 컨버터블 냉장고, 사리(Saree) 전용 코스를 탑재한 세탁기 등은 인도 소비자들에게 높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런 전략은 실제 성과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LG전자의 인도 매출은 전년 대비 14.8% 증가한 3조 7910억 원, 순이익은 무려 43.4%나 늘어난 3318억 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레드시어리포트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해 상반기 기준 냉장고(28.7%), 세탁기(33.5%), 에어컨(19.4%), TV(25.8%) 등 대부분 품목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세계 최대 인구와 빠른 경제 성장, 낮은 가전 보급률, 유리한 지리적 위치까지 갖춘 인도는, LG전자가 ‘다음 30년’을 준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테슬라도 애플도 삼성도 떠날 채비 하고 있는데
거길 기어들어가네…
경영진의 삽질이 또 한 번 빛을 내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