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2천만 시대,
늘어가는 빚에 허덕이는 사람들
“빚만 다 갚아도 사는 게 훨씬 편해지지 않을까요?”, “요즘은 정말 번 돈 대부분을 빚 갚는 데 쓰는 듯”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 가계대출자는 무려 1972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우리나라 국민 2.6명 당 1명은 가계대출이 있다는 뜻이다.
가계대출자 2천만 명 시대인 지금, 연 소득의 대부분을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쓰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지난 4일, 한국은행은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 가계대출자 수를 분석한 통계 자료를 공개하면서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앞서 언급했듯 국내 가계대출자는 2천만 명에 달하는 수준을 기록했으며,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는 무려 452만 명에 달했다.
이 외에도 사람들의 시선을 잡아끈 것은 바로 대출자의 빚 상환 비중이었다.
최저생계비로도 빠듯해요… 빚 갚는 데 올인하는 사람들
통계에 따르면, 평균 연 소득의 70% 이상을 빚 상환에 쓰는 대출자는 가계대출자 중에서도 약 13.9%였다. 수로는 무려 275만 명에 달한다.
통상적으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즉 DSR이 70% 수준이라는 것은 최저생계비를 뺀 모든 소득을 원리금 갚는 데 사용하는 수준이다.
즉, 가계대출자 10명 중 한 명은 최저생계비만 제외한 모든 소득을 빚 갚는 데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연 소득의 전부를 상환하는 데 쓰는 사람들 역시 많았다. 연 소득의 10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쓰는 가계대출자는 157만 명이나 됐다.
특히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 및 저신용 상태인 사람들이 소득의 대부분을 빚 갚는 데 쓰고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취약 차주들은 올해 상반기만 129만 명으로, 지난해보다도 3만 명이나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렇다 보니 금융기관의 연체율 역시 높아질 수밖에 없다.
올해 2분기를 기준으로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36%였으며, 비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2.12%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2분기와 비교했을 때 모두 상승한 수치로, 전문가들은 연체율이 높아질수록 금융기관 또한 흔들릴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소득이나 신용이 낮은 취약 차주들의 경우 소득의 대부분을 원리금 상환에 써도 최저생계비를 확보하지 못해 다시 돈이 부족해지는 악순환에 빠져있다.
전문가들은 많은 사람이 감당하기도 어려운 대출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채무상환 부담에 대한 금융당국의 면밀한 점검을 강조하기도 했다.
캐피탈대출만 이십년을 쓴 자인데 갑아도 끝이안보이네 돈도없고 집도업고 신용을 지키자니 노가다혀서 빗갑고나면 개털이네 벌떡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