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봉 1.1억이라더니 “다 이유가 있었구나”…웃음 뒤 감춰진 ‘이면’ 뭐길래

은행권, 역대급 실적에 성과급 최대 280% 책정
AI 도입으로 3~5년 내 20만 개 일자리 감소 전망
과도한 성과 압박에 정신건강 위협까지
은행
은행 성과급 인상 / 출처: 연합뉴스

“성과급 280%에 현금까지…” 최근 국내 은행들의 화려한 연봉과 성과급 잔치를 벌인 가운데, 그 이면에는 치열한 경쟁과 불안한 미래가 도사리고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역대급 실적에 성과급 ‘쏟아내’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2024년보다 임금 인상률을 높이고 성과급을 확대했지만, 동시에 AI 도입으로 인한 대규모 구조조정과 과도한 실적 압박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5대 은행의 임금인상률은 전년 대비 0.8%포인트 상승한 2.8%로 결정됐다.

은행
은행 성과급 인상 / 출처: 연합뉴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기본급의 280%를 성과급으로 책정했으며, 현금성 포인트도 대폭 확대했다.

농협은행은 통상임금 200%에 현금 300만 원을 유지했고, 우리은행은 복지포인트를 300만원으로 늘렸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까지 5대 은행의 누적 순익은 11조 7천8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6% 증가했다.

이러한 실적 향상의 이면에는 예대금리차 확대가 있었다. 2024년 11월 기준 신규 취급액의 예대금리차는 1.41%포인트로, 1년 3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은행
은행 성과급 인상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하지만 이러한 호화로운 대우의 이면에는 치열한 경쟁과 압박이 존재한다. KPI(핵심성과지표) 달성을 위한 과도한 영업 압박이 있기 때문이다.

한 은행 직원은 “성과급이 높은 만큼 영업 목표도 크게 상승해 업무 스트레스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이러한 성과주의는 고객의 실제 니즈보다 실적을 우선시하는 부작용으로 이어지고 있다.

AI가 몰고 올 은행권 지각변동

은행
은행 성과급 인상 / 출처: 연합뉴스

뿐만 아니라, AI가 곧 일자리를 대체 할 것이란 불안도 은행권에 불어닥친 현실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2025년 1월 9일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3~5년 내 전 세계 은행의 일자리 20만 개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됐다.

토마시 노에첼 BI 선임 분석가는 특히 반복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백오피스와 미들오피스가 가장 큰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 국내 은행들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국민은행은 금융AI센터를 1, 2센터로 확대했고, 신한은행과 기업은행은 CES 2025에서 AI 기반 금융서비스를 선보이며 미래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은행
은행 성과급 인상 / 출처: 연합뉴스

하나은행 역시 디지털혁신그룹으로 조직을 확대 개편하며 변화의 흐름에 동참했다.

한 금융권 전문가는 “현재의 높은 실적과 성과급이 미래의 안정성을 보장하지는 못한다”며 “AI 도입과 실적 압박 속에서 은행권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업무 환경 개선과 함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4

  1. 고객들은 고급리 이자로 하루도 편안하게 시
    살지 못하는데 금융기관 직원들은 고객에 받은
    고금리 이자로 배터질까봐 걱정하며 살고있네

  2. 그냐라의 은행 흥하면 나라가 망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중소기업의 비싼 고금리 놀이해서 벌어들이는 돈입니다. 중솤어에 5~6프로 금리 대출하니 중소기업은 돈 벌면 은행이자 갚느라 허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