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대로 가다간”…바다 건너 들려온 경고에 모두 ‘깜짝’

4만 달러 꿈 멀어지고 이웃국 추월
목표 2029년 밀리고 대만에 뒤질 듯
경제 성장 저조해 불안감 고조
한국
한국 경제성장률 / 출처: 뉴스1

경제 대국을 향한 한국의 꿈이 멀어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놓은 최신 전망에 따르면 한국 경제의 미래가 예상보다 어둡다.

불과 반년 전만 해도 머지않아 달성할 것으로 보였던 1인당 GDP 4만 달러 고지가 갑자기 훨씬 더 먼 미래의 일이 되어버렸다.

4만 달러 달성 2년 늦어진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은 지난 22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1인당 GDP가 2029년에야 4만 341달러(약 5800만 원)로 4만 달러 선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전망했던 2027년보다 2년이나 늦춰진 시점이다.

한국

또한 IMF는 한국의 1인당 GDP가 올해 3만 4,642달러(약 5000만 원), 내년 3만 5,880달러(약 5200만 원)일 것으로 예상했다.

더욱 당혹스러운 점은 올해 전망치가 지난해(3만 6,129달러)보다 4.1% 감소해 3년 전인 2022년 수준(3만 4,822달러)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다.

“IMF는 반년 전과 비교해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눈높이를 크게 낮췄다”고 경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실제로 작년 10월 전망에서는 2029년 한국의 1인당 GDP를 4만 4,347달러로 예상했으나, 이번에는 4만 341달러로 약 10% 낮추었다.

한국

이웃 나라 대만에 추월당하나

더욱 충격적인 것은 한국이 내년부터 대만에 1인당 GDP를 추월당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IMF는 대만의 1인당 GDP가 지난해 3만 3,437달러(약 4800만 원), 올해 3만 4,426달러(약 4900만 원), 내년 3만6,319달러(약 5200만 원)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은 2029년에 한국과 같이 4만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과 달리 경제 성장률이 2030년까지도 2%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어 차이가 있다.

한국

반면 IMF가 예측한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올해 1.0%, 내년 1.4%로 정체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도 비슷한 전망 예상

이러한 전망은 단순한 국제기구의 예측으로 치부하기 어렵다. 한국은행이 다음 달 발표할 경제전망에서도 올해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1.5%에서 IMF 수준인 1.0%대로 낮출 가능성이 크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0.4%포인트 낮은 -0.2%로 발표된 데다, 미국과의 상호관세 충격 등 하방 요인이 추경예산의 상방 효과보다 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

“국민소득 4만 달러 달성 시점은 앞으로 환율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대만에 국민소득을 역전당할 것이라는 전망은 뼈아픈 부분”이라고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지적했다.

그는 “일본이 우리에게 한번 역전당한 뒤 계속 뒤처지는 상황처럼, 우리도 대만에 계속 뒤처질 수 있다”며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IMF의 이번 경고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도전 신호탄이 된 가운데,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산업 경쟁력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해진 순간이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4

  1. 국가기술및 산업기술을 유출시키는 간첩과 노동력이 싸고 소비시장만 바라보고 보장도 없는 공산국가에 사업하는 결과다. 어쩌겠는가. 더불어 정신못차린
    귀족노조의 간첩과 같은 행위도 문제다

  2. 국민의힘이 암이되고 석여리가 나라를 후퇴시킨 결과…몇년울 두고 국민이 치뤄야할 대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