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 속
조지아주 공장 증설·철강 공장 신설 계획 공개

“31조 원이면 어마어마한 금액인데, 현대차가 진짜 큰 결단을 내렸네”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발표 행사에서 “향후 4년간 미국 내 투자 규모를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책이자, 북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이번 투자는 자동차 생산뿐만 아니라 철강, 부품, 물류, 미래 모빌리티 산업까지 포함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통해 미국 내 공급망을 강화하고, 전기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루이지애나에 철강 공장 건설… 관세 피하기 위한 전략
현대차그룹은 이번 투자 계획의 핵심으로 미국 내 철강 생산 확대를 내세웠다.

특히 루이지애나주에 연간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해 저탄소 자동차 강판을 생산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철강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며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이 미국 내에서 직접 철강을 생산하면 추가 관세 부담 없이 원자재를 조달할 수 있다.
또한 현대제철의 신규 공장이 가동되면 1,300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미국 정부의 투자 유치 정책에도 부응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은 자동차 생산 부문에서도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한다.

조지아주 서배너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은 연간 20만 대의 생산능력을 추가해 총 50만 대까지 확대된다.
이번 증설로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총 생산능력은 120만 대에 달하게 된다.
이번 투자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정책 속에서 나온 만큼 미국 정부의 환영을 받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대차가 미국에서 철강과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면서 관세를 부담할 필요가 없어졌다”며, “현대차의 대규모 투자는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생산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다”며, “현대차의 투자 결정이 미국 내 제조업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를 통해 현대차그룹은 미국 내 생산 기반을 강화하는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현대차가 북미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현대차의 민노총 행패를 기억한다면 하나씩 하나힉 모두 미국으로 옮기고 한국 공장에는 코나, 캐스퍼, 베나 같은 소형차만 생산해서 민노총 애들이 되풀이하는 파업에도 별 영향이 없도록 대비를 해라.
잘됏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