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하나에 2천 원 넘는 세상
‘장보기가 더 무섭다’는 말, 현실이 됐다
세계 두 번째로 비싼 밥상, 한국의 오늘

“장바구니에 몇 개 안 담았는데, 벌써 5만 원이 훌쩍 넘더라고요.”
서울 마트에서 만난 60대 주부 A 씨는 요즘 장을 볼 때마다 손이 먼저 멈춘다고 했다. 밥상 물가가 실제로 세계에서 손꼽히게 비싸다는 통계가 나오면서, 체감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 분명해졌다.
OECD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물가는 구매력을 반영한 기준에서 OECD 평균보다 47% 높았다. 스위스를 제외하면 가장 비싼 나라가 바로 한국이었다.
미국, 일본, 독일, 영국보다도 한국의 먹거리 물가가 높았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났다.
“먹는 데 절반 쓴다”…소득 깎아먹는 식비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식비 부담은 더 크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 20% 가구는 한 달에 92만 원의 가처분소득 중 44만 원을 식비로 썼다. 이는 절반에 가까운 수준으로, 지난해보다 비중이 더 높아졌다.
반면 소득 상위층은 식비 비중이 줄어들어, 계층 간 차이가 더 벌어졌다. 5년 전과 비교하면 저소득층의 식비 지출은 40% 넘게 증가했다.
가공식품과 외식 가격 상승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며, 일상적인 식사조차 부담이 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지만, 가공식품은 4.1%, 외식은 3.2% 상승해 더 큰 부담으로 다가왔다.

배추는 15%, 무는 59% 넘게 오르는 등 밥상에 자주 오르는 식재료들도 줄줄이 비싸졌다.
정부도 ‘비상’…“물가가 고통이다”
정부도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회의에서 “라면이 진짜 2천 원이냐”고 묻고, 물가 상승이 국민에게 큰 고통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는 범부처 회의를 통해 물가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할당관세 확대, 정부 비축물량 조기 방출, 수입 농축산물 확대 등의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최근 가격이 크게 오른 가공식품에 대해 담합 여부 조사와 함께, 소비자단체와 협력해 원가 공개를 추진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공공요금 인상도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미룰 방침이다.
밥상 물가는 하루 세 번 직접 느끼는 만큼, 체감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교통비나 의류보다 더 자주, 반복적으로 지출되기 때문에 작은 가격 변동도 크게 다가온다.
정부는 브라질의 안전 지역에서 닭고기를 수입하고, 유통 할인 확대와 가격 안정 조치를 병행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서민 삶의 기반인 체감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강조했다.
국민의 밥상이 가벼워질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와야 할 때다.
물가가 이렇게 오르는데도 돈 나누어준다는 전과5범 악질 욕쟁이놈!
시블 최고급 식당들도 다업애버리자 만원이상 한끼 식당들 빙신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