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3곳, 자금 사정 악화
건설·철강·석유화학 업종, 위기 직면

“이자 갚기도 힘들어요. 돈 빌리기가 이렇게 어려울 줄은 몰랐습니다.”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6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 10곳 중 3곳(31%)이 올해 자금 사정이 작년보다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토목(50%), 금속·철강(45.5%), 석유화학(33.3%) 기업들의 자금난이 가장 심각했다.

이들 업종은 경기 침체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인해 장기적인 부진을 겪고 있으며, 자금 조달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기업들은 자금난의 가장 큰 원인으로 ‘환율 상승’(24.3%)을 꼽았다. 이어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23.0%), ‘높은 차입금리’(17.7%), ‘매출 부진과 수익성 악화’(16.7%) 등의 요인도 영향을 미쳤다.
자금 사정이 어려운 가운데, 기업들의 자금 수요는 오히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36%가 올해 자금 조달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답했으며, 11%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기업 5곳 중 1곳, 이자 비용 감당 못 해

이자 부담 역시 기업들에게 큰 압박이 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20%가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지난달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0%에서 2.75%로 인하했지만, 기업들의 금융 부담을 덜어주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응답 기업의 58%는 올해 말까지 추가적인 금리 인하는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기업들은 올해 원·달러 환율이 최고 1495.8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환율 부담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자금난이 심화되면서 기업들은 긴축 경영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이 없거나 미정이라고 답한 기업이 전체의 61.1%에 달했다.
특히 건설(75%), 석유화학(73.9%), 철강(66.7%) 업종에서 신규 채용을 줄이는 기업이 많았다.
기업들은 채용을 줄이는 이유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및 수익성 악화’(51.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자금난이 지속될 경우, 일부 기업들이 도산 위기에 몰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 경제 전문가는 “이자 부담과 자금 조달 어려움이 지속되면 건설·철강·석유화학 업종을 중심으로 연쇄 도산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중소·중견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가 기업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종북 노조와 더불어 기업 죽이기당 지랄 효과가 막 나오고 있어요
나라가 망할 판인데 정치싸움 그만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