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로는 도저히 못 살겠어요”…65세 아버지, 결국 다시 일터로

최저 생계비에 한참 못 미치는 연금
경력 단절된 채 비정규직으로 재취업
고령자
고령자 재취업 / 출처 : 연합뉴스

“도저히 연금으로는 못 살겠더라고요. 결국 다시 나왔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들이 은퇴 후 다시 일터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겉보기엔 활발한 재취업처럼 보이지만, 그 속사정은 녹록지 않다.

국회예산정책처가 2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령층의 고용률은 37.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생계를 위한 절박한 선택과 질 낮은 일자리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

65세 이상, 왜 다시 일하는가

65세 이상 고령자의 월평균 연금 소득은 약 80만 원이다. 같은 해 1인 가구 최저 생계비는 134만 원으로, 두 금액 사이엔 54만 원의 격차가 존재한다.

고령자
고령자 재취업 / 출처 : 연합뉴스

이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상당수 은퇴자는 노동시장으로 복귀하고 있다. 단순히 일하고 싶어서가 아니라, 살아가기 위해 다시 일해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들이 재취업하는 일자리의 질이다. 조사에 따르면 65세 이상 임금근로자 중 61.2%는 비정규직이며, 절반 가까이는 10인 미만 영세 사업장에서 일하고 있다.

직무 역시 단순 노무직과 기계 조작원이 대부분으로, 육체노동의 비중이 높다.

게다가 임금 수준도 현저히 낮다. 50대 후반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약 351만 원인 반면, 60대 초반은 279만 원으로 20% 넘게 줄어든다.

쌓은 경력, 쓸 곳이 없다

고령자
고령자 재취업 / 출처 : 뉴스1

재취업한 고령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현재 일자리가 이전 경력과 무관하다고 답했다. 이른바 ‘경력 단절’이 고용 질 저하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구조가 고령자의 근로 의욕과 인적 자본 활용 측면에서도 손해가 크다고 지적한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은퇴자들이 과거와 유사한 분야에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고령층이 ‘노후’가 아닌 ‘노동’에 매달리는 상황은 결국 인구 구조 변화와도 맞닿아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40년쯤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이 0%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노동 인구가 줄어드는 가운데 고령 인구는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정년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60세 정년은 유지하되, 원하면 65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기업에 ‘계속고용의무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했다.

고령자
고령자 재취업 / 출처 : 연합뉴스

이제는 고령자 개인의 생계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구조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은퇴는 끝이 아니라 또 다른 노동의 시작이라는 현실 앞에서, 이들을 위한 제도적 설계가 더는 늦춰져서는 안 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2

  1. 올해 퇴직하는데 연금도 작지만 그마저도 2년후에 나온다고 합니다.
    2년동안 뭐하고 살라는건지.
    극민 살릴생각은 안하고 부정선거 타령만 하고있는 정치인들 정말 한심합니다.

  2. 연금을 더 일찍 그리고 더 많이 줄 생각은 안하고…정년 연장 시켜 ..힘도 없는데 일 더ㅜ시켜 먹늘려고 바락을 하네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