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하더니 ‘결국’… 614만 명 연체 폭증, 서민 경제 ‘경고등’ 켜졌다

한계에 몰린 서민경제,
연체·불법 대출 ‘급증’
서민
서민 경제의 위기 / 출처 : 연합뉴스

서울에서 한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A 씨는 최근 한숨이 늘었다. 업체의 매출이 반토막 난 데다, 대출 이자까지 날이 갈수록 쌓이면서 부담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탄핵 정국에 들어서면서 연말 특수조차 누리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는 A 씨.

내수 부진에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서민경제는 한계 상황에 놓였다.

가장 약한 고리인 서민과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은 급증했고, 불법 사금융 피해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서민
서민 경제의 위기 / 출처 : 뉴스1

지난 10월 말 기준, 신용정보원 채권자변동정보 시스템에 등록된 연체 차주 수는 614만 4000명에 달했다. 연체 건수는 2146만 건, 연체 잔액은 총 49조 444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실상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서민들이 신용 대출이나 카드론의 상환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는 신호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경제 허리층인 40대와 50대의 연체가 가장 심각했다. 40대의 연체액은 13조 6255억 원, 50대는 13조8064억 원에 이르렀다.

서민금융의 마지막 안전판, 소액대출 연체율 급등

서민
서민 경제의 위기 / 출처 : 뉴스1

정부가 도입한 소액생계비 대출은 저소득·저신용 서민을 위한 ‘긴급 급전 통로’다. 하지만 최근 이 제도의 연체율마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서민금융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소액생계비 대출 연체율은 작년 말 11.7%에서 올해 10월 말 29.7%로 급등했다.

연체 잔액은 477억 원으로, 1월(134억 원) 대비 약 3배 이상 증가했다.

서민 금융의 붕괴는 결국 불법 사금융으로 이어진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불법 사금융 피해 상담 건수는 4만 2409건으로 작년 전체 건수의 4배를 넘어섰다.

서민
서민 경제의 위기 / 출처 : 연합뉴스

한 금융 전문가는 “서민들은 최저한도의 생활비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사회적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문구 제조업체, 식당과 같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은 납품 단가 압박과 대출 이자 부담까지 겹치면서 더 이상 버틸 힘이 없다.

한 자영업자는 “주변 가게들도 하나둘씩 문을 닫고 있다”며 “은행에선 영업 이익이 줄었다고 금리를 높여서 대출 상환이 더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서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되는 가운데 서민금융 확대와 동시에 불법 사금융 근절 대책도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민
서민 경제의 위기 / 출처 : 연합뉴스

한편, 경제적 불확실성과 정치적 혼란이 지속될 경우 서민경제 위기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지금은 정부와 사회가 함께 취약계층의 부담을 덜어주는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4

관심 집중 콘텐츠

D램 시장

중국산은 안 될 줄 알았는데 “턱 밑까지 쫓아왔다”… 삼성·SK 대응은

더보기
국제 유가

이미 최고 가격 기록했는데 “더 오른다”…’초비상’ 걸린 이유

더보기
건강보험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 건강보험, 형평성 논란 커지는 이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