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무 가격 평년보다 최대 150% 폭등
기후변화로 농작물 생산 차질 심각
정부, 비축 물량 방출·수입 확대 대책 마련

“장 보러 갈 때마다 가격표만 보면 속이 타들어 갑니다.” 최근 장을 보러 시장에 나온 50대 주부 김 모 씨는 평소보다 두 배 가까이 오른 가격표를 보며 한숨을 내쉬었다.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무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 가계에 비상이 걸렸다.
심지어 한국은 기후변화에 따른 농산물 가격 폭등, 일명 ‘기후플레이션’에 특히 취약한 구조라는 우려의 목소리마저 높아지고 있다.
한 포기에 만 원?… 배추·무 가격 ‘충격’ 급등

농림축산식품부가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유통 중인 겨울 배추와 무 생산량이 평년보다 크게 줄었다. 이상기후 영향으로 배추는 평년 대비 13.3%, 무는 21.4%나 감소했다.
공급 부족으로 지난달 배추 도매가격은 평년보다 71.7% 올랐고, 무는 무려 153.2%나 급등했다. 소매가격도 배추는 평년보다 36.9%, 무는 81.1% 상승해 가계 부담이 커졌다.
농식품부는 봄 재배형이 출하되기 전까지 배추와 무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봄배추는 다음 달 하순, 봄 무는 오는 5월 중순부터 출하될 예정이다.
‘금배추’, ‘금무’ 현상… 기후변화의 그림자

“금배추”, “금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심각한 농산물 가격 상승은 이번이 처음 일어난 현상이 아니다.
지난봄에는 사과와 배 가격이 작년의 두 배로 치솟으며 같은 해 여름 강원도 고랭지배추는 폭염으로 녹아내렸다.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하게 나타나고 있다. 커피, 코코아, 올리브유 등 식품 원재료가 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하며 ‘기후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일부 수입 품종 외에 대부분 농산물을 국내 생산에 의존하고 있어 농산물 수입 개방도가 높은 국가보다 기후 충격에 더 취약하다.

신지영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한국은 대부분 농산물을 국내 수급에 의존해 이상기후로 인한 가격 변동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9월의 경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로 안정됐지만, 농산물 물가만 11.5% 상승률을 보인 바 있다.
비축 물량 방출·수입확대… 정부의 비상대책
배추와 무 가격 급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비축한 배추 2,600톤을 도매시장에 공급하고, 무 비축분 500톤을 도매가격의 70% 수준으로 대형마트에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직수입 물량 확대, 할인 행사 지원 기간 연장, 계약재배 물량 확대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비축 기간을 9월까지 늘리면 수급 안정에 크게 도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단기적 대책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입을 모은다.
기후변화가 심화되는 환경에서 더 이상 예외적 현상이 아닌 ‘뉴노멀’이 된 농산물 가격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기후변화 대응책과 장기적 식량 안보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국산 먹어야지 썩렬때문이다
농업을 보호하는 것도 좋지만 너무 어느정도 개방도해야…
찢어진 짱깨놈들꺼말고 다른데꺼 수입하면된다
댓글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