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급증하고 거래량 급감한 부산 부동산 시장
지역 경제 위기와 인구 감소로 장기 침체 우려
정부의 적극적 부양책 없이는 회복 어려워

부산 부동산 시장에 비상이 걸렸다. 미분양 주택이 급증하고 거래량은 사라지다시피 했다.
지역 경제마저 위기에 처하며 전문가들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미분양 주택 급증, 거래는 실종
부산의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다. 2일 국토교통부의 ‘2025년 1월 기준 주택 통계’ 발표에 따르면, 지난 1월 부산의 미분양 주택은 4,526가구로 전월 대비 4.1% 감소했지만,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오히려 20.3% 증가한 2,268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평균 증가율(6.5%)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거래량도 급감했다. 같은 기간 부산의 주택 매매 거래량은 2,126건으로, 비상계엄 수준이었던 지난해 12월보다도 28.2% 줄었다.
특히 아파트 시장에서는 거래가 사실상 멈춘 상태다. 이에 따라 부산 아파트 가격은 2022년 6월 이후 무려 33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전세가는 7개월 연속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넷째 주 부산의 아파트 전세가는 전주 대비 0.05% 올랐다.
연제구 연산·거제동, 수영구 민락·망미동, 남구 대연·용호동을 중심으로 전세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수요자들이 불확실성 속에서 매매보다는 전세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부산 경제의 붕괴 조짐
부산의 부동산 시장 침체는 단순한 시장의 조정이 아니라 지역 경제 전반에 걸친 심각한 위기 신호로 해석된다.
부산은 지난 수십 년간 산업과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경제적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다.

인구 감소도 심각한 수준이다. 1995년 이후 부산의 인구는 60만 명이 줄었으며, 현재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24%를 넘어섰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지난해 7월 부산을 ‘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선 도시로 평가했으며, 부산연구원은 2050년까지 부산 인구가 현재보다 33.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서울의 21.4% 감소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이다.
경제적 측면에서도 위기다. 20세기 산업과 무역의 중심지였던 부산은 현재 젊은 세대의 ‘탈출 러시’(엑소더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원인은 국가 경제의 수도권 집중, 첨단산업으로의 전환 실패, 그리고 한국 100대 기업 중 본사를 부산에 둔 기업이 없다는 점이 꼽힌다.

부양책이 절실한 시점
전문가들은 현재의 부동산 침체와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영래 부동산서베이 대표는 “특단의 조치가 없는 한 이런 상황이 당분간 지속할 것”이라며 “시장이 체감할 수 있는 부양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정규 동아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이 정도면 지역 경제는 물론 국가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이라며 “지방의 경우 직접적인 금융 지원과 세제 혜택 등 투자자를 시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은 2021년까지만 해도 15년 새 아파트값이 191% 상승하는 등 부동산 시장이 활황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정반대의 상황이 전개되며, 부산 부동산 시장의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정부가 부산 경제의 붕괴를 막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지역 경제의 장기 침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뭔 개소리를? 오를때는 관여말라, 내릴때는 부흥책 내놔라. 왜 그래야 되는데???
더 내려야 되는 것 아닌가, 부동산으로 경제발전을 얘기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