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금 보유량 세계 38위로 추락
11년째 추가 매입 없이 104.4t 동결
세계 중앙은행들은 올해도 ‘골드러시’ 진행 중

지난 10년간 전 세계가 ‘금 사재기’에 나섰지만 한국은행만 뒷짐을 지고 있었다.
6일 세계금위원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 순위는 지난해 말 기준 세계 38위로, 1년 만에 두 계단이나 하락했다.
한은이 마지막으로 금을 매입한 2013년 이후 금값은 두 배 이상 올랐다.
주요국들의 금 매입 러시에 고립된 한국

세계 각국 중앙은행들은 지난해에만 1,186톤의 금을 매입했다. 이는 4년 만의 최고 기록이다. 특히 4분기에만 333톤을 사들이며 ‘골드러시’를 이어갔다.
지난해 말 전 세계 금 보유량을 보면 미국이 8,133.5톤으로 1위이며, 독일(3,351.5톤), 이탈리아(2,451.8톤) 순이다.
폴란드(89.5톤), 튀르키예(74.8톤), 인도(72.6톤) 등도 대규모 매입에 나섰고, 중국 또한 33.9톤을 추가해 5위를 기록한 러시아와의 격차를 좁혔다.
한은의 보수적 접근이 부른 순위 하락

한국은행은 2011년 40톤, 2012년 30톤, 2013년 20톤을 매입한 이후 11년째 104.4톤을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금 보유량 순위는 2013년 말 32위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특히 2023년에는 카타르와 헝가리가 각각 10톤 이상을 매입하면서 한국을 제치고 순위가 상승했다.
안전자산 확보 경쟁 가속화
전문가들은 최근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열풍이 경제적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을 위한 것이라고 분석한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달러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한은은 지난해 4월 “금 가격이 고평가됐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으나, 국제 금 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가 최근 온스당 2,845.14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은의 전체 외환보유액 중 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해 상위 40위권 중앙은행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제발 보수들아 정신 차리자. 나와 나라좀 잘 살자.
이러니 국민들만 혀리가 휘어진다
무능한 기득권 층의 단면
국민들만 등이 휜다.
한은이 2013년 금을 매입하고 금가격이 하락하자
하자 국회에 불려가 혼난 트라우마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