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은 오르고 책임도 지는데
식품업계 “담합 조사 억울”
정부-업계 갈등 격화 조짐 보여

“수익은 줄고, 책임은 늘었는데 이젠 조사를 받는다니 억울할 따름입니다.”
최근 정부가 식품 가격 인상에 대해 담합 가능성을 제기하며 주요 식품업체에 대한 현장 조사에 착수하자, 업계에서는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가격 인상의 원인이 환율 급등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있다는 입장과 함께, 사회 공헌을 지속해 왔다는 점을 들어 억울함을 토로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14일부터 농심, 오리온,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기업 본사에 조사관을 투입해 가공식품 가격 인상 과정에서 담합 정황이 있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이는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이 3.6%에 달하면서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가격은 올랐지만…기업들도 “사정 있었다”
올해 들어 커피, 라면, 맥주, 아이스크림 등 주요 먹거리 품목의 가격 인상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라면 시장 1위 기업인 농심은 정부의 압박으로 50원 내렸던 신라면 가격을 2년 반 만에 1천 원으로 다시 올렸다. 이 외에도 오뚜기, CJ제일제당, 롯데웰푸드, 남양유업 등도 잇달아 가격 인상에 동참하면서 무려 40곳이 넘는 식품업체가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이에 대해 업계는 단순한 이익 확대 목적이 아닌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한다.
특히 원가 인상 요인이 모두에게 동일하게 작용하는 상황에서 가격 인상이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것을 두고 몰래 공모해 자기들만의 이익을 챙기려는 이른바 ‘짬짜미’라 의심받는 건 부당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일부 기업은 영업이익이 줄어든 상황에서도 저소득층과 재난 이재민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하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소비자단체 “이익 늘었다면 가격 인상은 과해”

정부는 고환율과 원가 상승 등으로 식품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으나, 일부 기업의 영업이익이 증가한 상황에서 가격을 올리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달 말 성명을 통해 “기업들이 앞다퉈 가격을 올리는 것은 소비심리를 더욱 위축시키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원두와 코코아 가격은 상승했지만 밀가루, 식용유 등 주요 원재료는 가격이 유지되거나 오히려 하락했다”며, 가격 인상에 대한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계속하면서도, 원가 부담이 크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는 인상 자제를 당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원료구입 자금 지원, 부가세 면제, 할당관세 적용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영업이익이 늘어난 기업은 공적 지원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말로만 그러지 말고 제대로 물가 잡아라 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