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대만이 먼저 참여 선언
한국,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 직면

알래스카 천연가스 개발을 둘러싼 미국의 전략이 한국을 정조준하고 있다.
일본과 대만이 먼저 참여 의사를 밝히면서, 미국은 한국에도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본과 대만은 최근 미국의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만의 국영 석유기업 대만중유공사는 지난 20일 미국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와 액화천연가스(LNG) 구매·투자의향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대만은 향후 알래스카산 LNG를 도입하고, 관련 인프라 건설에도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보다 앞서 일본 정부도 관심을 표명했다. 지난 2월 방미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제 미국의 시선은 한국을 향하고 있다. 중국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미국 입장에서 세계 2위, 3위의 LNG 수입국인 일본과 한국의 참여 여부는 프로젝트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다.
트럼프, 한국에도 참여 압박

미국은 알래스카 가스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동아시아 주요 에너지 수입국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세일즈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의회 연설에서 “일본, 한국, 그리고 다른 나라들이 우리와 파트너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한국을 주요 투자국으로 지목했다.
실제로 마이크 던리비 알래스카 주지사는 한국을 방문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주요 정부 관계자들과 면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포스코인터내셔널, SK이노베이션 E&S, GS에너지 등 주요 에너지 기업과도 개별 면담을 추진 중이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연중 영하 40도까지 떨어지는 극한 환경 속에서 진행되는 대형 개발 사업이다.
알래스카 노스슬로프 지역에서 채굴된 천연가스를 1,300km에 달하는 가스관을 통해 앵커리지 인근 항구로 운송한 뒤, 액화하여 수출하는 방식이다.
사업 리스크가 크다는 점에서 한국은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이지만, 막대한 초기 투자 비용과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경우 경제적 실익이 충분한지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미국이 일본과 대만을 설득한 데 이어 한국에도 압박을 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한국이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트럼프 행정부가 주도하는 이 프로젝트가 한국에 어떤 결정을 강요할지, 정부와 기업의 대응이 중요한 시점이다.
허!
투자는 수익성을고려해서 당사자가 알아서 하는것 인데.트럼프가 해라.마라 하냐?
지들 미국 기업도 리스크 때문에 포기한 사업을 왜 다른 나라한테 강요하냐? 양아치가 따로 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