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강 장벽 더 높아졌다
수출길 막힌 한국 철강업계,
이제는 생존이 관건이다

“이번에도 빠져나갈 구멍 있을 줄 알았는데, 이번 건은 다르네요. 진짜 끝장입니다.”
미국이 외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한다고 발표하면서, 한국 철강 기업들에 닥친 수출 절벽 위기가 현실이 됐다.
트럼프의 ‘배로 올린 관세’, 산업 타격 현실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의 US스틸 공장에서 직접 철강 관세 인상 계획을 밝혔다.

그는 기존의 25% 관세에 대해 “허점이 존재했다”며 “누구도 피할 수 없는 50%의 장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당 조치는 오는 6월 4일부터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가 미국 내 철강 산업에 투자하는 기업들에게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밝혔다.
“관세가 25%일 때는 장벽을 넘을 수 있었지만 50%는 다를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사실상 수입 철강을 철저히 틀어막겠다는 선언이었다.
이번 조치는 2025년 3월부터 시행 중인 무역확장법 232조 기반 25% 철강 관세를 한층 강화한 것이다.
“관세 50%, 생존이 달렸다”…한국 기업 ‘비상’

이미 수출 타격을 받고 있던 한국 철강업계는 이중고에 빠졌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료에 따르면 4월 한국 철강 수출은 전년 대비 7.1% 줄었고, 5월(1~20일 기준)에는 감소 폭이 12.1%로 더 커졌다.
미국은 한국 철강업체들의 주요 수출 시장 중 하나다.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29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약 13%를 차지했다.
관세 인상에 대한 명분도 강력하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는 트럼프의 이번 조치가 미국의 군수·방산 능력 강화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빈 해셋 NEC 위원장은 ABC 인터뷰에서 “중국은 철강 생산을 무기로 보고 있다”며 중국과 미국의 상황을 비교했다.

중국은 세계 철강 생산의 약 54%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생산국으로, 해셋 위원장은 “중국의 독점적 철강 생산은 전쟁에 대비한 전략”이라며 미국 내 자립 생산 기반 확보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정부는 주미공관과 현지 기업 네트워크를 통해 정확한 시행 세부 내용 파악에 나섰다.
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무엇보다 정부의 빠른 정보 공유가 중요하다”며 “이제는 발 빠른 협상과 공동 대응 외엔 길이 없다”고 말했다.
업계는 당장 눈앞의 수출 감소보다도, 장기적 신뢰 하락과 공급망 붕괴를 더 큰 위기로 본다. 오는 4일 시행까지 남은 시간은 단 이틀, 한국 철강산업의 생존이 걸린 외교·산업의 총력전이 시작됐다.